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난 22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개최된 국제표준화기구(ISO) 회의에서 무인기 통신 네트워크(UAAN) 관련 4건의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제정되었다고 밝혔다.
그동안 드론 제조사마다 공통된 통신규격이 없어 드론 간 정보교환이 되지 않았다. 이번에 국제표준으로 채택된 기술은 국내 연구진이 드론(무인기) 비행시 드론 간 충돌위험을 방지하고 수백 대의 드론을 동시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드론 분산 통신 표준 기술을 ISO에 기고한 것이다.

이번에 제정된 국제표준은 UAAN에 대한 표준으로, 진화된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EVAN)가 핵심인 무인기 통신모델 및 요구사항, 공유통신, 제어통신, 영상통신 총 4개 기술이다.
국제표준으로 이제 드론 간 정보 공유를 통해 드론 간 혹은 지상 이동 장애물과의 충돌 방지가 가능하다. 예컨대 서로 다른 제조사의 드론이 넓은 농지에 농약을 동시에 살포하거나, 여러 대의 드론의 화재지역 상공의 동시 다발적인 비행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결한 셈이다.
인식 서비스 통신 거리는 약 5km로 드론들은 물론 드론과 헬기도 상호 인식할 수 있어, 유인기와 무인기의 비행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저고도 무인기 탐지 및 회피 응용 계층 기술’표준을 함께 활용하면 드론 간 자율 충돌 회피가 가능하다.
이 표준기술로 무인기는 물론, 관련 장치들까지 상호연결이 가능하다. 드론 제어와 드론 영상 전송은 물론, 드론 간 상호인식, 자율 충돌 회피, 이동 장애물 인식, 이착륙장과의 통신 등의 드론 관련 서비스들을 하나의 통합 통신 플랫폼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드론이 각 신호 송신마다 변화하는 비밀번호(신뢰필드)를 함께 전송해 드론의 불법 유무를 지상에서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도에 표시되지 않는 이동 장애물에 본 표준의 통신모뎀을 장착해 드론 택시 이착륙장인 버티포트(Vertiport)와 직접 통신, 교각의 유지 보수나 건축물의 측량 시 비행 우선권 제공(동적 지오펜싱) 등의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으며, 국방 드론에 적용하는 경우 북한의 전파방해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무겁고 고가인 드론 인식 레이더에 비해 UAAN표준의 통신모뎀은 수만원대로 저렴하고 쉽게 제작될 수 있어 드론 인식 서비스에 적합하다.
ETRI 임채덕 에어모빌리티연구본부장은 “이번 국제표준 제정으로 상용 드론을 서비스하는데 필수적인 드론 운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뿐만 아니라 그 핵심인 에반(EVAN)은 LTE, 5G 등 이동통신 및 와이파이에 비해 적응형 통신망 구성이 용이하고 전송 효율이 높아, 향후 빠르고 편리한 미래 에어 모빌리티 서비스 혁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영공 인식 기능 강화된 드론, 긴급 상황 현장에 적시 대응
- 라스트 마일 배송 성공의 비결...소비자 경험향상·배송 비용 절감
- 메가존클라우드, 노키아와 손잡고 이음5G 시장 진출 노린다
- AI로 진화하는 보안 감시 시스템, 2027년 2347억2000만 달러규모
- 국가공간정보 플랫폼, 민간 대상 사업 확대
- 2025년 스마트센서 1조 시대 열려
- 라스트 마일 배송 “비용 줄이고 소비자 경험 개선해야”
- [SPOTLIGHT] 안전한 자율주행 기술 개발의 선봉장 ‘모라이’
- 기업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활용 증가로 국내 에지 컴퓨팅 시장 확대될 것
- 자동차를 넘어 선박과 비행체까지 확장되는 자율주행 기술
- 국내 연구진, 차세대 UHD 핵심 기술, 5G 송수신 기술 공개
- ETRI, 공공기관 오픈소스 활용·확산 적극 지원
- 글로벌 와이파이 모듈 시장, 2024년 541억 달러 전망
- ETRI, 미래 모빌리티 관련 시장과 사업화 유망 기술 382개 소개
- ETRI, 인천시와 PAV, UAM 산업 육성 위한 차세대 6G 실증 사업 추진
- ETRI, AI·6G 등 6대 핵심 기술에 집중위한 임무중심 R&D 추진
- ETRI, '메타버스' 국제표준 주도권 확보
- DNA+드론 플랫폼, 데이터 획득부터 실시간 AI 분석까지
- ETRI, 'NFC기반 인터넷 통신 기술' 국제표준으로 제정
- 주머니 크기 비행 카메라, 안전하고 콘트롤러나 앱이 필요없네!
- 내부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자율주행하는 드론
- AI 적용 드론, 재해 현장 구조 작업에 활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