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사설망(VPN)은 개인 정보 보호와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도구로 다양한 기업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하지만 사용자의 인터넷 트래픽을 암호화하고 다른 서버를 통해 전송하기 때문에 일반 인터넷 연결보다 속도가 느려질 수 있고,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설정 해야하고, IP 주소가 변경되므로 기존에 사용하던 웹사이트나 서비스에 접속할 수 없는 불편함도 있다. 여기에 개인 정보 보호를 제대로 보장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많다.
이런 이유로 VPN을 고려할 때는 강력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다양한 보안 기능, 서버의 위치, 속도와 가격을 잘 살펴봐야 한다.
VPN 제공 업체인 PIA(Private Internet Access)가 자사의 글로벌 서버 네트워크가 84개국에서 91개국으로 확장됐다고 발표했다.
이미 미국 50개 주 전체에서 서버 옵션을 제공하는 몇 안 되는 VPN 제공 업체 중 하나인 PIA는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특정 요청을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확장해왔다.

PIA는 전 세계적으로 안전한 사설 인터넷 연결에 대한 사용자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다른 VPN 제공 업체가 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는 지역에 새로운 서버 네트워크를 추가하고 있다. 이번에 새로 추가된 서버 위치는 볼리비아, 에콰도르, 과테말라, 네팔, 페루, 우루과이, 한국이다.
새로운 서버의 위치는 사용자 요구와 특정 사용 사례를 고려하여 결정된 것이다. 이번에 특히 한국이 추가됨으로써 K-드라마와 한국 TV 애호가들에게 이 역동적인 장르의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것이다.
서버 확장 외에도 PIA는 브뤼셀, 스톡홀름, 휴스턴, 산호세(실리콘 밸리)와 같은 인기 있는 허브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전용 IP 위치의 수를 늘리고 있다.
전용 IP 주소는 개인 정보를 유지하면서 더 원활한 온라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고유한 IP를 부여한다. PIA의 토큰 기반 시스템은 사용자의 전용 IP가 이메일이나 계정과 완전히 연결되지 않도록 보장하며 추가 보안 확인 없이 IP 제한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온라인 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PIA는 최고 수준의 데이터 보안을 보장하기 위해 군사용 256비트 AES 암호화를 사용하는 RAM 전용 서버를 통해 넥스트젠 서버 인프라의 안정성을 일정하게 유지된다.
관련기사
- 비즈니스 경쟁력 확보 위한 차세대 스마트 워크 구축 전략 공개
- 높아지는 네트워크·개인정보 보안 요구, "서비스형 SOC도 상승세"
- 온라인에서도 ‘나이는 못 속여’
- 모바일 해킹과 양자 위협 대응법
- 글로벌 네트워크와 보안을 하나의 아키텍처로 관리하기
- 클라우드 보안 필수 “제로 트러스트 최적화 전략”
- 예측불허의 클라우드 보안, 최적 해결법 SECaaS
- 주거용 프록시까지 꼼꼼히 탐지 ‘숨을 곳이 없다’
- 플랫폼과 대화와 프로세스 자동화를 동시에!
- 클라우드 활용 기업의 "필수 클라우드 보안 전략"
- VPN, 선택 전 꼼꼼히 살펴야 하는 이유
- 에지·클라우드·멀티 클라우드에 최적화 VPN 솔루션
- 간편하고 안전한 소규모 기업용 커넥티비티 솔루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