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수(FASOO)가 개인정보 등 민감정보의 유출 걱정 없이 생성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신규 솔루션 ‘AI-R DLP(AI Radar Data Loss Prevention)’를 출시했다. 파수의 AI-R DLP는 생성AI 서비스에 전송되는 데이터 내의 민감정보를 탐지, 차단하고, 직원들의 AI 서비스 사용 권한 등에 대한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챗GPT로 촉발된 생성AI의 확산은 전 세계 모든 산업에 큰 변화를 불러오며, 다방면에서 업무 생산성을 혁신하고 있다. 하지만 AI에 질문을 입력하는 과정에서의 민감정보 유출 문제가 지적됨에 따라 실제 많은 기업들이 AI 서비스 사용을 금지하거나 제한하고 있다. 이에 파수는 중요 정보의 유출을 차단하면서 AI의 이점을 누릴 수 있도록 AI-R DLP를 출시했다.\

파수의 AI-R DLP는 챗GPT, 바드, 라마2 등의 생성AI 서비스로 전송되는 민감정보를 탐지하고 차단하는 솔루션이다. 민감정보 탐지를 위해 패턴 매칭과 딥러닝 방식을 모두 활용하며, 특히 인공지능 기반의 자연어 처리 기술로 문맥을 이해하고 탐지해 높은 검출 정확성을 보인다.

정책은 조직의 특성에 따라 손쉽게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별, 조직도별, IP별로 차단 혹은 허용을 포함한 정책 관리가 가능하며, 다양한 정규식과 딥러닝 태그도 간편하게 선택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나 후처리 정책을 분리해 유연하게 정책 설정이 가능하다. 이 외에도 민감 정보 탐지 시 관리자에게 자동 알림을 제공하며, AI 서비스 접근 이력이나 전송 데이터, 처리 결과 등의 로그도 확인이 가능하다.

간편하고 직관적인 UX를 제공하는 파수 AI-R DLP는 RBI(Remote Browser Isolation, 웹 격리 방식)으로 구축된다. 생성AI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격리된 브라우징 환경을 제공하는 웹 격리 방식은 조직 특성에 따라 손쉽게 정책을 적용할 수 있어, 향후 다수의 AI 서비스 별로 각각의 정책을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이후 업데이트를 통해 웹 격리 방식 외에 HTTP 트래픽 검사를 기반으로 하는 웹 프록시 방식도 지원해, 유연한 선택이 가능해질 예정이다.

조규곤 파수 대표는 “하루가 다르게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생성AI를 얼마나 잘 활용하는가가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할 요소로 주목받고 있지만 민감정보 유출 또한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뵈는 AI-R DLP는 파수가 데이터 식별과 관리 분야에서 축적한 노하우를 기반으로 안전하게 AI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말했다.\

 

[알림] GTT KOREA의 동영상 마케팅 플랫폼 GTT SHOW는 오는 12월 14일 목요일 오후 2시부터 오후 3시까지 “기업의 데이터 중심 성과향상과 의사결정 효율 높이는 '전사 기업성과관리' 전략”을 주제로 무료 온라인 세미나를 진행한다. 기업의 다양한 성과 지표의 측정과 분석, 경영계획, 이동계획, 차이 및 변수 별 분석 등 경영 의사결정을 돕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기업성과관리(CPM) 솔루션 및 ERP와 함께 운용했을 때의 장점과 실제 도입 사례를 통해 전사 CPM과 경영계획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전략과 활용법이 소개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