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 보안은 제조, 에너지, 운송 산업 등의 장비, 시설 등 물리적 인프라를 관리하는 OT 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ICS(산업제어시스템)등을 포함한 OT시스템이 공격받으면 공장이나 발전소가 멈추거나 오작동할 수 있어 막대한 인적, 경제적, 환경적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현재 OT 시스템은 DX의 확산으로 IT 시스템과 연결되면서 사이버 공격에 노출될 위험성이 높아졌다. 최근 대형 제조기업 및 국가기반시설을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이 급증해서 EU는 강력한 징벌적 과징금을 부여하는 ‘네트워크 및 정보 시스템 지침2(NIS2)’을 제정했으며 국내에도 관련 법제화의 요구가 커지는 실정이다.
데이터 보안 기업 파수(조규곤 대표)가 OT(운영기술) 보안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파수는 OT 보안 전문기업 파로스네트웍스(이하 파로스)를 인수하고 흡수합병을 20일 완료했다.
파수는 역량과 노하우를 갖춘 파로스를 기반으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OT 보안 시장을 개척해 나갈 계획이다.
파수가 인수한 파로스는 OT 보안 솔루션 컨설팅 전문업체로 15년 이상의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초대형 공장 및 대기업 고객과 구축 사례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OT 보안 솔루션 공급 뿐만 아니라 구축부터 운영, 안정화까지 OT보안을 도입 및 적용하기 위한 전과정을 지원하는 역량과 레퍼런스를 갖췄다.
조규곤 파수 대표는 “IoT와 IIoT, 스마트팩토리와 산업 자동화 등, 운영 시스템이 급속도로 고도화되면서 OT 보안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하지만 IT 시스템과는 다른 독립적인 프로토콜과 운영 환경 등으로 보안 적용이 늦어지고 있으며 특히 국내는 전문성과 노하우의 부족으로 OT 보안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며, “파로스 인수로 양사의 시너지를 기반으로 급성장이 기대되는 OT 보안 시장을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파수, 기업용 sLLM ‘엔터프라이즈 LLM’ 출시
- 글로벌 에너지 기업에 들어간 국산 문서 보안 솔루션
- 민감정보 유출 걱정 없이 챗GPT 사용하는 '파수 AI-R DLP'
- 'AI 어시스턴트'로 편의성·업무효율 향상된 문서관리와 협업 솔루션
- 한국요꼬가와전기-SK쉴더스, 스마트 공장 안전 책임진다
- 파수, 기업 ‘맞춤형’ 보안 강화 패키지 서비스 출시
- DDI, 두산그룹 제조공장에 ‘OT 보안’ 도입
- ‘극한 환경·네트워크’에 강한 IIoT·HMI 개발 지원 ‘고성능 단일 보드 컴퓨터’
- 로컬과 클라우드 오가며 DRM 정책·보안 유지하는 ‘FED’
- 센스톤, EU 사이버 보안 대표단에 OT 보안 기술 선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