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로이트 인공지능 연구소(Deloitte AI InstituteTM)가 15일(현지시각)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에서 세계 기업들의 생성AI 활용 동향 및 인식을 조사한 ‘딜로이트 생성AI 기업 서베이: 현재 전략에 미래 경쟁력 달렸다’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2023년 10월부터 12월까지 전 세계 16개국에서 6대 산업의 기업 임원급 응답자 2800명 이상 대상 설문조사를 토대로 작성됐다. 응답자들의 AI 전문성 수준은 다양했으며, 모두 AI를 사용한 경험이 있고 조직 내에서 AI를 시범 도입 또는 본격 도입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현재 생성AI 관련 기업들의 인식과 행동을 조사해 향후 생성AI가 어떠한 방식으로 도입돼 가치가 실현될지를 예측하기 위해 실시했다. 딜로이트 인공지능 연구소는 이번 조사를 시작으로 매 분기 기업 대상으로 생성AI 조사를 실시해 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이다.

생성AI 전문성 확보한 기업은 이미 가치 실현 중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5%가 생성AI가 향후 3년 내 조직 대전환을 촉발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대부분 조직의 성장과 혁신 강화 등 장기적 비전보다 효율성 개선과 비용 절감 등 즉각 눈에 보이는 이점에 초점을 맞췄다.
생성AI를 도입해 조직이 얻고자 하는 이점으로 응답자 56%가 효율성 및 생산성 개선을 꼽았다. 보다 장기적 전략에 해당하는 혁신 촉발(29%), 새로운 아이디어와 통찰력 발굴(19%) 등에 대한 기대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편 본인이 생성AI에 대한 전문성이 ‘높다’ 또는 ‘매우 높다’고 답한 응답자는 44%로 10명 중 4명을 넘었으며, 이 중 ‘매우 높은 전문성’을 지니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9%를 기록했다. 매우 높은 전문성을 지닌 리더들이 이끄는 기업은 생성AI를 받아들이는 방식이 여타 기업과 달랐다. 높은 전문성에 응답자들은 이미 제품 개발과 연구개발(R&D)에 생성AI를 본격 도입했다는 비율이 73%에 달해, 이미 혁신과 성장 가치를 실현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또한 이들은 전 사업부서를 통틀어 생성AI를 도입한 비율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생성AI에 대한 신뢰는 높은 반면 불확실성은 낮게 인식하고 있었고, 생성AI가 가져올 파괴적 변화 가능성도 누구보다 크게 인식하며 준비 태세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성이 높은 그룹은 생성AI 도입이 확산되면 기존의 사업 및 운영 모델이 위기에 처할 것이라는 응답 비율이 생성AI 전문성이 보통 수준인 응답자 그룹에 비해 두 배 높았다.
도입 시 인력, 거버넌스, 리스크 관리가 최대 과제
기업들은 생성AI 활용 전략과 기술 인프라 등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준비가 돼 있으나 인력, 거버넌스, 리스크 관리 등은 아직 준비가 미흡해 생성AI 도입을 가로막는 큰 장애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생성AI 도입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로 기술 인력 및 스킬 부족을 꼽았다. 생성AI 도입 시 인력 준비가 ‘충분히 돼 있다’ 또는 ‘매우 잘 돼 있다’는 응답자는 22%였다. 또한 생성AI 교육과 재훈련에 초점을 맞추는 기업도 절반이 되지 않았으며, 조직이 구성원에게 생성AI의 역량, 이점, 가치에 대한 충분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는 응답은 47%였다.
하지만 생성AI 전문성을 재빨리 확보한 기업들은 직원 교육과 재교육에 상대적으로 더욱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생성AI 계획을 주도할 기술 인력 확보에 더욱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에 조직이 구성원에게 생성AI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는 비율이 전문성이 매우 높다는 응답자 중에서 74%에 달한 반면 전문성이 보통이라는 응답자 중에서는 27%에 그쳤다.
또한 거버넌스와 리스크도 생성AI 도입의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조직이 거버넌스와 리스크에 대응할 준비가 ‘충분히 돼 있다’ 또는 ‘매우 잘 돼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25%에 그쳤다. 거버넌스와 관련해 가장 큰 우려는 ▲생성AI의 산출물에 대한 신뢰 문제(36%) ▲지식재산권 침해 우려(35%) ▲고객 데이터 오용 문제(34%) ▲규제 컴플라이언스(33%) ▲설명 가능성 및 투명성 부족(31%) 등이 꼽혔다.
생성AI에 따른 경제 불평등 심화 우려도 제기
기업 리더들은 생성AI가 선사할 비즈니스 기회에 대해서는 기대가 높았으나,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보다 비관적 견해를 보였다. 응답자 절반 이상이 생성AI 일반화로 세계 경제 힘의 집중화(52%) 및 경제 불평등(51%)이 심화할 것이라 답했다. 또 응답자 49%는 생성AI 툴과 애플리케이션이 증가함에 따라 국가 기관 및 국제기구에 대한 대중의 신뢰가 악화할 것이라 우려했다.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응답자 대다수는 글로벌 규제(78%)와 협력(72%)을 강화해 책임감 있는 생성AI 도입을 촉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데보르시 더트(Deborshi Dutt) 딜로이트 컨설팅 LLP의 AI 그로스 오퍼링 리더는 “생성AI를 활용한 가치 창출을 가속하려면 사업 운영 방식을 재창조하다시피 전환해, 급변하는 환경에서 앞서 나감과 동시에 리스크를 적절히 관리해야 한다.”라며, “부서 간 협력을 강화하고 생성AI로 인해 예상되는 변화에 대해 구성원들을 교육·재교육하는 데 큰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기업 생존력 높이는 비즈니스 시장 4대 전망
- 기업 성장에 필요한 9대 요소
- 컴퓨팅 환경 바꾸는 클라우드, 인프라 시장도 ‘쑥쑥’
- 생성AI 수익화 시작, 연간 65% '기하급수적'성장, 2028년 1000억 달러 전망
- 2024년에 일어나지 않을 기술 동향
- 생산성 향상 보장하지 않는 생성AI, 해결책은?
- [기고] 기업이 알아야 할 "데이터 규정 준수의 기본"
- '직장 내 AI 신뢰', 아직은 못 미더워
- 생성AI로 비즈니스 효과 높이는 5대 전략
- 시각 장애인이 사물을 볼 수 있는 AI 기반 ‘눈’ 개발
- 생성AI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생산성 70% 향상’
- AI 기반 제3자 생태계 위험 관리 솔루션
- 열악한 인벤토리 데이터 관리 ‘감사 비용 크게 증가’
- 아태 지역 기업, AI 투자에 적극...2030년 1170억 달러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