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전문 기업 이스트시큐리티(대표 정진일)는 2024년 1분기 알약 랜섬웨어 행위기반 차단 건수가 총 7만 9646건이라고 발표했다.
이스트시큐리티는 올해 1분기 주요 랜섬웨어 동향으로 ▲크로노스 작전(Operation Cronos)을 통한 록빗(LockBit) 랜섬웨어 조직 소탕 ▲취약점을 이용한 랜섬웨어 공격 지속 ▲한국인터넷진흥원, 리시다(Rhysida) 랜섬웨어 복호화 툴 개발 ▲새로운 랜섬웨어의 지속적 등장을 선정했다.

지난 2월, 국제 수사 집행기관들이 협력해 크로노스 작전(Operation Cronos)을 통해 록빗 랜섬웨어 조직을 소탕했다. 이 작전을 통해 록빗 소스코드를 포함한 데이터 유출 사이트, 1000개 이상의 암호 해독키 등을 압수했으며 34개의 서버를 중단시켰다.
하지만 작전을 통해 조직이 무력화 된지 5일만에 록빗 조직은 백업 데이터를 이용해 다크웹 사이트를 복구했다. 이후 이들은 다크웹 사이트를 통해 인프라와 운영적인 측면을 더 강화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CI(Continuous Integration) 소프트웨어인 팀시티(Teamcity)의 온프레미스 플랫폼에서, 인증을 우회하고 서버관리를 제어할 수 있는 두 가지 심각한 취약점(CVE-2024-27198 및 CVE-2024-27199)이 공개됐다. 랜섬웨어 공격 시뮬레이션 툴인 자스민(Jasmin) 랜섬웨어를 악의적으로 수정해 해당 취약점을 공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키라(Akira) 랜섬웨어도 주로 다중 요소 인증(MFA)이 없는 계정 접근을 통한 VPN 무단 접속 방식을 이용해 공격을 진행했으나, 최근에 시스코 ASA/FTD 취약점을 악용해 공격을 진행하도록 공격 전술을 바꾼 것이 확인됐다.
한편 리시다 랜섬웨어의 복호화 툴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국민대학교 DF&C 연구실이 공동으로 개발했다. 2023년 5월 처음 발견된 리시다 랜섬웨어는 주로 VPN, 피싱메일을 통해 유포되며 파일을 암호화한 후 확장자를 .rhysida로 변경한다. 미국 사이버보안 및 인프라 보안국(CISA)과 연방수사국(FBI)은 사이버보안 권고문을 통해 기업들에게 리시다 랜섬웨어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이스트시큐리티는 국제협력을 통해 복호화 툴로 검증도 완료된 만큼 리시다 랜섬웨어의 피해자들은 해당 복호화 툴로 데이터를 복호화 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전했다.
한편 새로운 랜섬웨어도 지속적으로 등장했다. 포보스(Phobos) 랜섬웨어의 다른 계열인 파우스트(Faust)라는 랜섬웨어가 등장했다. 파우스트 랜섬웨어는 파일리스 공격을 통해 암호화 프로세스를 시작하며 효율적인 실행을 위해 여러 스레드를 생성하는 특징이 있다.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다크웹에 윙(Wing)이라는 새로운 RaaS(Ransomware as a service)도 등장했다. 러시아어, 영어 두 가지 언어를 지원하며 암호화 모드, 멀티스레딩, 커스터마이징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윙 랜섬웨어가 새로운 위협으로 급부상할지는 두고 볼 필요가 있다.
이스트시큐리티 ESRC는 “보안 취약점을 이용한 랜섬웨어 공격이 지속되고 있다. 사용자 및 기업 보안 담당자들은 주요 소프트웨어의 정기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보안 취약점을 악용한 랜섬웨어 공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것을 권고한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2024년 1분기 최다 악성코드 유형은 ‘스틸러’
- 랜섬웨어로 손상된 데이터를 빠르게 감지하고 복구하는 ‘사이버센스’
- 의료기관 원격 시스템 공격하는 랜섬웨어 증가...위험해지는 환자들
- “급증하는 생성AI·랜섬웨어 공격 대비 최선책은 데이터 백업 및 관리 강화”
- 온라인 평판이 비즈니스 성공에 미치는 영향
- 보이지 않는 위협까지 찾아내는 ‘다크웹 인텔리전스’
- 생성AI 기반 보안 OS ‘포티OS 7.6’와 ‘포티넷 보안 패브릭’...중앙집중식 데이터 보호로 DLP 강화
- 2023년 랜섬웨어 공격 급증 ‘지난해 대비 49% 증가’
- 다우기술, 클라우드 기반 협업 플랫폼 ‘다우싱크’ 특허 취득
- 단일 플랫폼에서 모든 기기∙엔드포인트 통합 관리
- IoT∙AI∙ML 신기술 위협 ‘사이버 보안’ 수요 촉발
- 데이터 보호에 필요한 3대 핵심 사항
- 즉시 대응하는 시그니처리스 '안티랜섬웨어', 일본 시장 개척
- 국내 기업 사이버 공격에 자신감 ‘61%’, 실제 준비는 ‘4%’
- ‘데이터 고스트’ 기술로 랜섬웨어 무력화
- KISA-라오스 국가인터넷센터, 디지털 확산·사이버 보안 역량 강화 업무협약 체결
- KISA-인천경찰청, 개인정보 불법유통 근절 협력
- 기업 사이버 공격 및 스미싱 53만 건, 2년동안 ‘2.5배 증가’
- KISA, 영세·중소기업 대상 암호모듈검증 컨설팅 무료 지원
- KISA, 해킹 사고 원클릭으로 확인하는 ‘해킹진단도구’ 배포
- 기업 맞춤형 vCISO, 랜섬웨어 대비와 사이버 보안 강화
- 이스트시큐리티-시큐어링크-사이시큐어연구소, 통합 보안 플랫폼 개발 및 해외진출 협력
- 2024년 2분기 알약 랜섬웨어 차단 7만1416건
- '록빗·플레이 등 6개 조직' 올 상반기 랜섬웨어 공격 50% 이상 감행
- 이스트시큐리티, 세명컴퓨터고 학생 대상 'AI/보안' 관련 진로교육 특강 실시
- 추석 연휴 노리는 사이버 공격 대비 5대 보안 수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