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 국가위성운영센터 해킹사고 및 미국 위성통신 제공업체 ‘비아샛’ 겨냥 해킹공격 등 국내외 우주 사이버위협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관계기관들이 우주 관련 보안 업무를 각각 수행한다.

그러나 많은 종류의 기관과 세분화된 업무 프로세스로 인해 통합적인 관리가 쉽지 않다. 따라서 우주 및 위성의 보안 업무 효율을 높이는 통합대응체계가 필요하다.

국정원이 위성 사이버보안 강화를 위해 범정부 협의체를 출범했다(자료제공=국정원 인스타그램)
국정원이 위성 사이버보안 강화를 위해 범정부 협의체를 출범했다(자료제공=국정원 인스타그램)

국가정보원(원장 조태용, 이하 ‘국정원’)은 위성 등 우주자산을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관계기관과 연계를 통해 위성의 ‘설계·운용·폐기’ 등 생애 전 주기에 대한 사이버보안 관리체계를 구축한다고 4일 밝혔다.

국정원은 지난 4월 23일 ‘우주안보 업무규정’ 개정을 통해 우주안보 위협 대응 근거를 마련했다. 이번 발표로 국정원은 실질적인 우주 사이버보안 대응체계를 수립하는 국방·외교·국토·해수부, 우주항공청 등 관계부처와 항우연·국과연·ETRI·KAIST 등 20개 기관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출범한다.

협의체는 ▲위성 임무 및 운영별 사이버 보안대책 수립 ▲위성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 제정 ▲우주 사이버위협 통합대응 중장기 로드맵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윤오준 국정원 3차장은 “우주공간이 새로운 국가 안보영역으로 급부상 중이다. 관계부처 및 위성개발ㆍ운용기관과 지속 협력하며 국가 우주자산을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토대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