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국방보안연구소(이하 국보연)와 협력해 군사용 위성 보안 및 사이버 보안 분야 연구개발(R&D)을 수행해 국가안보에 앞장서기로 했다.
이번 협력으로 양 기관은 국방 보안 분야 연구 및 기술교류 등으로 양 기관 간 교류 증진을 통한 긴밀한 협조 관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향후 양 기관은 ▲군의 우주 및 사이버 보안 분야 R&D 공동 제기 및 추진 ▲군의 첨단 무기체계 구현을 위한 ETRI 보안기술 지원, 협력 및 교류 ▲군의 첨단 무기체계에 R&D를 통해 개발된 보안 기술 적용 협력 ▲기타 군 첨단 기술 적용을 위해 필요가 인정되는 우주 통신 보안 분야 협력 ▲ 군 통신위성 및 정찰위성 보안기술 로드맵 작성 협력 등을 추진한다.
ETRI는 현재, 방위사업청 주관사업의 일환으로 ▲사이버전장 위협 상황인지 기술 ▲사이버전장 위협 능동대응 기술 ▲사이버전장 악성봇 서비스 거부 공격 예방 기술 등을 연구 중이다.
연구진은 이 연구개발로 사이버전장 환경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보안상황을 사전에 인지하고 능동적인 대응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사이버 공격확산을 조기에 방지하는 지능형 위협 상황인지 기반 능동대응 기술을 연구 수행 중이다.
ETRI 인공지능컴퓨팅연구소 조일연 소장은 “국방 보안 기술 및 제도를 다루는 국방보안연구소와의 협력으로 위성보안 기술 연구개발을 선도하고 군 무기체계에 적용하여 국가 사이버 안보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향후 국방보안연구소와의 협력을 통해 연구진은 민간보안 기술 연구 노하우를 군(軍) 첨단 무기체계에 적용해 우리 군의 사이버보안 및 우주보안 기술 첨단화를 이끌 계획이다.
관련기사
- 최첨단 기술 총체 “디지털 전장” 시장, 군 현대화로 성장가속
- 국방부와 정부 기관 소프트웨어 개발에 최적화된 데브섹옵스 플랫폼
- 클라우드 기반 항공 유지보수∙운영 지원 솔루션
- 사이버 공격 방지하는 OT 네트워크 세그멘테이션
- 차세대 전력 반도체 핵심 기술 국산화 성공
- HMI, 국내 방위 및 항공 기술 서비스 대폭 강화
- 모라이, 자동차·항공·선박 분야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기술로 글로벌 진출 선언
- 양자 센서 이용 장거리 원자 RF 통신 성공
- [2024년 전망] 주목해야 할 사이버 보안 5대 트렌드
- "국방 분야 '다크웹 위험' 선제 대응해야"
- 얼굴 인식 시장, 2032년 243억 달러 전망
- 메이사, 국토부 수주지원단 일원으로 UAE 방문
- 아이스아이, 25cm 영상 촬영 가능한 레이다 위성 발사 ‘성공’
- 말하면 알아서 척척 ‘절차 생성 AI’, LLM이 성능 보장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사 발표
- [한선화의 소소(昭疏)한 과학] 수많은 과학자들의 땀으로 빛나는 별 ‘인공위성’
- 도심 환경에서 위치 정확도 향상시키는 ‘GNSS 플랫폼’
- ‘매크로 암표’ 발본색원
- 우주에 무슨 일이? “우주전파재난 위기경보 ‘관심’ 단계 발령”
- 국정원-KAIST, 사이버안보 강화 맞손
-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 한국 정찰위성 발사 지원
- 통신 절차 줄이고 속도도 빠른 ‘6G 코어네트워크’
- ETRI, 감성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 모습 예측
- 국정원, 범부처 위성 사이버보안 대응 협의체 출범
- 이리듐 네트워크용 AES-256 암호화 음성 통신 장치
- ETRI, 6G 통신 구현 핵심 ‘무선 액세스·백홀’개발...네트워크 정확성·효율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