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과 윔블던 테니스 대회의 주관사인 AELTC(The All England Lawn Tennis Club)는 윔블던 대회에 IBM의 AI 및 데이터 플랫폼 ‘왓슨x(watsonx)’의 생성AI를 활용한 ‘캐치 미 업(Catch Me Up)’ 기능을 18일 발표했다.

캐치 미 업은 AI가 만든 선수 관련 이야기 및 분석 내용을 담은 경기 전후의 선수 카드를 윔블던 홈페이지와 윔블던 2024 앱에서 보여주는 기능이다. 사용자의 선호도와 위치, 마이윔블던 프로필의 데이터를 기반해 순차적으로 선수 카드를 보여준다.
한편, 경기 전 콘텐츠에는 최근 경기력 분석과 우승 가능성 예측이 포함된다. 경기 후에는 주요 통계와 하이라이트, AI가 생성한 일일 경기 요약도 제공한다.
이 기능은 왓슨x 플랫폼에서 IBM의 '그래니트(Granite)' LLM을 사용해 구축됐다. 윔블던의 편집 스타일을 학습했다. 윔블던이 전 세계의 신규 및 기존 테니스 팬들을 대상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고, 팬들이 동시에 진행되는 남녀 단식 경기 전반에 대한 시의적절하고 엄선된 보도를 접할 수 있도록 고안됐다.
한편, 윔블던은 올해 생성AI를 활용해 휠체어 경기를 포함해 이전보다 더 다양한 경기를 중계해 전 세계 시청자들에게 더 많은 선택을 제공할 예정이다.
조나단 아다셰크(Jonathan Adashek) IBM 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 담당 수석 부회장은 "새로운 캐치 미 업 기능은 생성AI의 힘을 활용해 매력적인 인사이트 중심의 스토리텔링을 대규모로 제공하는 흥미로운 사례이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기업용 AI 핵심 "데이터 신뢰성·맞춤형·개방성"
- 유연한 확장성 ‘마이크로 모바일 데이터센터’ 주목
- 금융권 CEO의 여전한 난제 ‘생성AI 전문 인력·문화’
- IBM 컨설팅, LG유플러스 구독 플랫폼 ‘유독’ 서비스 구축
- IBM, AWS 마켓플레이스 소프트웨어 제공 92개국으로 확대
- 마스터스, AI 기반 ‘홀 인사이트’와 생성AI 해설 기능으로 팬 경험 향상
- ‘신원정보 탈취’ 2023년 최고 보안위협, 생성AI 활용 공격 선제 대비해야
- ‘AI 전문성 부족∙데이터의 복잡성∙윤리적 문제’가 AI 도입의 걸림돌
- IBM-한국퀀텀컴퓨팅, IBM 왓슨x 및 양자 컴퓨터 국내 도입 협력
- [Success Story] IBM 왓슨x 도입한 세비야 FC, 선수 영입 프로세스 혁신
- 고객은 기다리지 않는다, AI로 혁신하라
- IBM 파워, 고객 기반 ‘2039’ 장기 로드맵 발표
- 왓슨x에서 활용하는 미스트랄 라지 모델
- IBM ‘왓슨x’ 오픈소스 LLM 라마 3.1 및 미스트랄 라지 2 지원
- AI로 팬서비스 강해진 US오픈 테니스 대회
- 레다테크, ‘TI·Arm 프로세서’ 탑재 ‘고성능·저비용’ ADAS 솔루션 선봬
- IBM, '고성능 AI 모델 그래니트 3.0' 출시...투명성·안전성·신뢰성 강화로 비즈니스 최적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