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사이버안보센터가 해외 보안 동향을 17일 발표했다.
러시아 사이버 보안 회사인 카스퍼스키 랩은 7월 20일부터 미국 내 운영을 단계적으로 중단할 예정이다. 이는 미국 재무부가 6월 21일 카스퍼스키의 12명의 임원을 제재하고 상무부가 카스퍼스키를 제재 목록에 추가한 후 나온 결정이며, 9월 29일부터 미국에서 소프트웨어 판매 및 업데이트 제공이 금지된다.

리눅스 커널 6.10이 출시됐다. 기존 버전의 기능을 추가하고 버그를 수정했다. 주요 기능으로는 공격자가 임의 메모리에 코드를 쓰고 실행하는 것을 막아 메모리 손상 취약점을 완화하는 mseal() 시스템 콜, TPM(Trusted Platform Module)과의 암호화된 통신을 통한 보안 강화 등 포함됐다.
새로운 코드 난독화가 적용된 ‘하드비트(HardBit) 랜섬웨어 4.0’이 출현했다. 이 랜섬웨어는 암호문 보호 기능을 추가해 탐지를 회피하며, 주로 금전적 이익을 새로운 코드 난독화가 적용된 이중 갈취 전술을 사용한다. 자격 증명 탈취와 네트워크 탐색을 통해 확산하며, 피해자 시스템을 감염시킨 후 보안 태세를 약화시키고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또한 탐지를 피하기 위해 다양한 난독화 기법을 사용한다.
SEXi 랜섬웨어가 APT INC으로 개명하고 ESXi 공격을 지속하고 있다. APT INC 랜섬웨어는 바북(Babuk)과 락비트(LockBit) 3 암호화를 사용해 주로 VMware ESXi 서버와 Windows 시스템을 대상으로 공격한다. 최근 몇 주 동안 여러 조직이 APT INC의 공격을 받았으며, 랜섬 요구 금액은 수만 달러에서 수백만 달러에 이른다. 현재 무료 복구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한편, 마이크로소프트는 6월 윈도우 서버 업데이트가 Microsoft 365 Defender의 네트워크 데이터 보고 서비스를 사용하는 일부 기능 중단 오류를 확인했다. 이번 문제는 주로 윈도우 서버 2022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며, 네트워크 탐지 및 대응 서비스(NDR) 기능에 장애를 발생시켰다.
사이버 범죄자들이 페이스북 비즈니스 페이지와 광고를 이용해 가짜 윈도우 테마를 홍보하며, 사용자를 SYS01 정보 탈취 악성코드에 감염시켰다. 또한 불법 게임 및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Sora AI, 3D 이미지 생성기, One Click Active 등의 가짜 다운로드를 광고. 클릭한 사용자는 가짜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해 악성코드가 포함된 ZIP 파일을 받게 된다.
SYS01 악성코드는 브라우저 쿠키, 저장된 자격 증명, 브라우저 기록, 암호화폐 지갑 등의 데이터를 훔치고 페이스북 계정 정보도 탈취해 추가적인 공격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AT&T, 1억 1천만명 통화 및 문자 메시지 기록 유출
- 메타, AI 훈련에 사용자 개인 정보 활용...여러 국가 소송 제기
- 글로벌 사이버보안 동향...신종 멀웨어 출현, 기업 및 국가 겨냥 공격 등
- 국가사이버안보센터, MS 계정 공격·신규 악성코드 그룹 출현·AMD 내부 데이터 다크웹에 노출 정황 파악
- 국정원, '북한 사이버 위협 동향 및 공격사례 분석 설명회' 개최
- 국가사이버안보센터, 윈도우·안드로이드·맥OS 겨냥 및 SSLoad 악성코드 동향 파악
- 국가사이버안보센터, 해외 국가·기업 및 해킹 동향 발표
- 국가사이버안보센터, 해킹·랜섬웨어·윈도우 취약점 등 해외 보안 이슈 13건 발표
- 中 사이버 위협 집단들, 남중국해·아프리카 등 국가 기관 해킹
- 국가사이버안보센터, 주간 해외 사이버 보안 동향 발표
- 2024년 2분기 알약 랜섬웨어 차단 7만1416건
- '구독형 해킹' 극성, 전 세계 60만 개 은행 카드 정보 유출
- 공공장소 USB 충전 해킹 '주스재킹' 주의보
- 美 상무부 제재당한 카스퍼스키, 한국 시장 대응 방침 발표
- 인도 암호화폐 거래소 2억 3천만 달러 도난...북한 소행 추정
- 가짜 크라우드스트라이크 복구 매뉴얼, 신종 정보탈취 악성코드 유포
- 북한 해킹 팀 APT45, 핵관련 시설 및 원자력 발전소 공격
- 캔바, 이미지 생성AI 플랫폼 '레오나르도 AI' 인수로 창의적 AI 도구 강화
- DDoS 공격으로 애저 포털, 마이크로소프트 365 및 퓨어뷰 서비스 8시간 중단
- DNS 취약점 악용 ‘시팅 덕스’ 공격...3만 5천 개 도메인 탈취
- 중국 해킹그룹 APT41, 대만 연구소 공격 "MS 오피스 취약점 악용"
- 러시아 발 신종 웜 바이러스 ‘CMoon’ 출현
- 해킹된 '시스코 스마트 인스톨' 비활성화 필요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의 통합 보안 전략
- 카스퍼스키, 한국에 투명성 센터 개소...소스코드 공개
- 카스퍼스키, ISG 'XDR 부문 리더' 선정
- 카스퍼스키-인터폴, 전 세계 사이버 범죄자 40명 검거...표적형 피싱·랜섬웨어·정보 탈취 차단
- “악성 파일 매일 46만 7000개 탐지, 윈도우OS 겨냥 93%”
- 카스퍼스키, SE 랩스 테스트 2024년 1등 기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