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사이버 보안 기업 카스퍼스키(Kaspersky)가 인터폴(INTERPOL)의 시너지아(Synergia) II 작전에 협력해 40명 이상의 사이버 범죄 용의자를 체포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21일 밝혔다.
이 작전은 표적형 피싱, 랜섬웨어, 정보 탈취 등의 사이버 위협을 차단하기 위해 인터폴이 95개 회원국의 법 집행 기관 및 민간 파트너와 진행한 글로벌 이니셔티브다. 이 작전으로 100명 이상의 용의자 중 41명이 체포됐다.
카스퍼스키는 전 세계에서 확인된 악성 인프라 데이터와 IoT 악성 소프트웨어 배포 관련 정보를 인터폴에 제공했다. 작년 시너지아 작전의 연장선인 시너지아 II는 피싱, 악성 소프트웨어, 랜섬웨어 공격에 사용되는 인프라를 차단하는 데 중점을 뒀다.

이번 협력으로 약 3만 개의 의심 IP 주소 및 서버를 확인했고, 이 중 75% 이상을 차단했다. 법 집행 기관은 59개의 서버와 43개의 전자 기기(노트북, 모바일폰, 하드디스크 등)를 압수했다. 홍콩은 1037개, 마카오 291개의 악성 서버를 차단했다. 에스토니아는 80GB 이상의 서버 데이터 압수해 피싱 및 뱅킹 악성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추가 분석 중이다.
한편 카스퍼스키는 올해 하계 올림픽 관련 사기 대응 등 인터폴과 협력해 여러 국제 사이버 위협에 대처해왔다.
인터폴 사이버범죄국 국장 닐 제튼(Neal Jetton)은 “각국이 협력해 수백만 명의 잠재적 피해자를 보호할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카스퍼스키 공공 정책 부사장 율리야 슐리츠코바(Yuliya Shlychkova)는 “사이버 범죄에 맞서기 위한 다자간 협력이 글로벌 사이버 회복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시도때도 없는 SW 공급망 공격, AI로 진화하며 피해는 막대
- 카스퍼스키, ISG 'XDR 부문 리더' 선정
- 카스퍼스키, 한국에 투명성 센터 개소...소스코드 공개
- 중국 해킹그룹 APT41, 대만 연구소 공격 "MS 오피스 취약점 악용"
- DDoS 공격으로 애저 포털, 마이크로소프트 365 및 퓨어뷰 서비스 8시간 중단
- 美 상무부 제재당한 카스퍼스키, 한국 시장 대응 방침 발표
- '구독형 해킹' 극성, 전 세계 60만 개 은행 카드 정보 유출
- 카스퍼스키, 미국 사업 철수...美 상무부 제재 목록 추가
- 산업 시스템 공격 증가로 ‘운영 보안’ 관심 집중
- 글로벌 사이버보안 동향...신종 멀웨어 출현, 기업 및 국가 겨냥 공격 등
- ‘VPN 취약점’ 노리는 랜섬웨어 급증...다층 보안 시급
- 홈 네트워크 노리는 ‘피싱·맬웨어’ 급증
- '스마트 콘텐츠 분석'으로 '복잡한 악성코드·피싱 공격' 재빨리 차단
- 기업 노리는 사이버 공격 콕집어내는 '기업 맞춤형 위협 분석' 솔루션
- “악성 파일 매일 46만 7000개 탐지, 윈도우OS 겨냥 93%”
- [2025년 전망] IT 공급망 주요 5대 위험 ‘대형 AI 서비스, AI 도구, 위성망, 물리시설, OS’
- 카스퍼스키, SE 랩스 테스트 2024년 1등 기록
- 카스퍼스키, QKS ‘관리형 보안 서비스·디지털 포렌식·사고 대응’ 리더 선정
- 카스퍼스키, 北 라자루스 신규 악성코드 ‘CookiePlus’ 발견
- 카스퍼스키, 구글 플레이·앱스토어서 OCR 악용 ‘스파크캣’ 트로이 목마 발견
- ‘발렌타인 데이 노리는 스토킹’ 주의
- 클라우드 보안, 확장성과 포렌식 기능으로 강화되다
- 아태지역 기업 겨냥 사이버 공격 ‘살몬슬라럼’ 발견…클라우드 서비스 활용 및 탐지 회피 기술로 공격 정교화
- 깃허브에 숨은 '깃배놈' 맬웨어...개인 데이터 탈취 신종 위협
- 금융 범죄 특화된 ‘AI 통합 범죄 수사 솔루션’...‘사이버 인텔리전스·디지털 포렌식’ 접목, 국제 사건 신속해결
- 카스퍼스키, 인터폴 ‘세렝게티 2.0 작전’ 지원...사이버 범죄자 1200여명 검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