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대표 강석균)이 USB, CD 드라이브 등 외장 매체에 대한 제어와 관리하는 ‘안랩 EDC(AhnLab EPP Device Control, 이하 안랩 EDC)’를 18일 출시했다.

‘안랩 EDC’는 ▲업무용 PC에 외장 매체의 접근 및 연결 이후 읽기/쓰기 제어 ▲기업 맞춤형 예외 시간대 정책 등 외장 매체별 제어 정책 설정 ▲장치 제어 현황 모니터링 및 통계, 보고서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 솔루션은 조직 내 외장 매체로 인한 악성코드 감염이나 정보 유출 등 보안 위협으로 생산설비 서버와 서비스 시스템 등 조직의 주요 자산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엔드포인트 통합 보호 플랫폼 ‘안랩 EPP’의 플러그인 형태로 제공돼 쉽게 추가할 수 있다.
‘안랩 EPP’ 고객은 라이선스만 추가해 플랫폼의 단일 관리 화면으로 ‘안랩 EDC’의 매체 제어 특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상호 연동으로 엔드포인트 솔루션 간 연계 정책을 설정하면 위협에 대한 가시성을 확대하고 통합 위협에 대응할 수 있다.
김창희 안랩 제품서비스기획실장은 “최근 컴플라이언스 대응 등으로 매체 제어 솔루션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안랩 EDC’로 보안 담당자들이 발전하는 엔드포인트 위협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장명곤 기자
mgj1020@gttkorea.com
관련기사
- ‘문서 프로그램 설치 유도’ 피싱 메일 주의
- '받은 편지함이 꽉 찼습니다.' 위장 피싱 메일 주의
- 과기정통부, 블록체인 공공·민간분야 사업 추진
- 한국 바이너리 코드 분석 솔루션, 글로벌 진출
- 도박 정보 파일 위장 악성코드 주의보
- HD현대마린솔루션, 선박 사이버 보안 솔루션 사업 박차
- 이스트시큐리티-시큐어링크-사이시큐어연구소, 통합 보안 플랫폼 개발 및 해외진출 협력
- 이스트시큐리티, 제로트러스트 기반 '통합보안 모델 개발 시범 사업 ' 수주
- 엔드포인트 보안 전략 ‘나를 증명하라’
- 안랩, 2024년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 1094억원·영업이익 36억원
- 공모주 사칭 피싱 문자 ‘136%’ 급증
- 여름 휴가철 노린 '유급휴가 변경' 피싱 메일 주의
- 올해 2분기를 괴롭힌 피싱 메일 키워드 ‘결제·배송·공지’
- ‘안랩 컨테이너 시큐리티’, 쿠버네티스 취약점·위험도·자산현황 한눈에
- 업무 관련 메일 위장 악성코드 주의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