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가 AI 신뢰성과 성능 향상에 중요한 고품질 데이터 활용 확산을 위해 데이터 품질인증 대상을 기존 ‘정형데이터’에서 ‘비정형데이터 및 데이터 관리체계’까지 확대한다고 29일 밝혔다.

‘데이터 품질인증’은 데이터 오류 여부와 품질관리 체계 수준 등을 심사 및 평가해 인증하는 제도이다. 과기정통부는 작년 7월에 ‘데이터 품질인증 기관’을 지정 및 같은 해 11월부터 ‘정형데이터 품질인증’을 수행해왔다.
‘비정형데이터 및 데이터 관리체계 품질인증’은 AI 기술 보편화로 데이터 품질에 대한 요구에 대응하고자 마련됐다. 세부 인증 심사체계는 관련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데이터 품질 전문가 및 인증기관 간 논의를 거쳐 수립됐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성장 잠재력을 지닌 AI·데이터 중소 및 중견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고자 ‘데이터 품질인증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연말에는 데이터 품질인증 방침을 마련해 품질인증지표, 심사 방법, 준비 사항 등을 배포할 예정이다.
김경만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AI가 일상화되는 시대에 고품질 데이터는 신뢰할 수 있는 AI의 필수 요소이다. 과기정통부는 데이터 기반의 신기술 및 서비스 사업을 추진하는 기업들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장명곤 기자
mgj1020@gttkorea.com
관련기사
- NIA, 지능정보화 컨설팅 착수보고회 진행
- 정부 구축·지원 "AI 보안 위협에 대응하는 AI 데이터 셋"...글로벌 보안 경쟁력↑
- 민관 협력 'AI 공공서비스' 개발 착수
- 과기정통부, 공공서비스 개선 ‘2024년 거브테크 창업경진대회’ 개최
- 한국 디지털 플랫폼 총 매출 114.4조원, 콘텐츠가 견인
- 캠시스, 과기정통부 ‘우수기업연구소’ 2회 연속 지정
- 국산 ‘청정수소 생산기술’ 개발한다
- 국민이 참여하는 ‘디지털 질서 정립’
- SGA솔루션즈, 정부‧공공 ‘제로 트러스트 도입 시범사업’ 수주
- 국산 ‘페로브스카이트’ 기술..태양전지 유연화·경량화·경제성 달성
- 과기정통부, 지역 정보보호 사각지대 해소 본격 추진
- 한국인 절반 이상, "AI는 위험보다 이점 많고, 규제 보다 혁신 필요" 인식
- 과기정통부, '해킹 신고 체계 가이드라인' 확립
- 보이스아이, MS 윈도우·오피스 정품 인증 '디지털 증지 라벨' 출시
- 미소정보기술, '데이터 품질 진단 분야' 클라우드 보안 인증 획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