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원장 황종성, 이하 NIA)은 지난 24일(수) NIA 대구본원에서 '2024년 지능정보화 컨설팅 착수보고회(이하 보고회)'를 개최했다.
지능정보화 컨설팅은 SOC(Social Overhead Capital, 사회 간접 자본) 사업 및 정보화사업에 AI 등 지능정보기술을 적용해 효과적인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2007년부터 진행했다.

특히, 이번 보고회는 연초부터 수요조사 및 후보 과제 평가를 통해 선정된 3개 기관(국민권익위원회, 근로복지공단, 울산항만공사)의 과제 추진을 위해 마련됐으며, 수행기관과 주관기관들이 모여 컨설팅 및 계획 수립 방향을 논의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능형 국민소통플랫폼 구축 ISP 사업’ 과제를 추진한다. 이 사업은 범정부 온라인 국민참여포털인 국민신문고와 빅데이터·인공지능 등 최신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는 사업이다. 민원 업무의 효율화·자동화를 통해 대국민 민원서비스 품질을 향상하고, 디지털서비스 개방 등 데이터 기반의 민-관 협업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한다.
한편, 근로복지공단의 과제는 ‘생성AI LLM 시스템 도입을 위한 ISP사업’으로, 공단 퇴직연금 운영인력의 업무 처리 효율성 제고 및 비용 절감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대형언어모델 구축 방향을 모색하는 기획 사업이다.
울산항만공사는 ‘지능형 통합 항만 플랫폼 구축 ISP 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항만운영 프로세스 전반에 디지털화 및 데이터 연계 방안 마련,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활용 기반 구축·운영 방안 마련 등 지능형 항만 플랫폼 구축 방안 마련 목적의 사업이다.
황종성 NIA 원장은 이번 보고회를 통해“지능정보화 컨설팅 사업을 통해서 SOC 및 정보화 분야 전반에 지능정보기술이 성공적으로 확산되어 행정 효율성 증대와 국민 편익 제고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정부 구축·지원 "AI 보안 위협에 대응하는 AI 데이터 셋"...글로벌 보안 경쟁력↑
- 민관 협력 'AI 공공서비스' 개발 착수
- 국민이 참여하는 ‘디지털 질서 정립’
- 과기정통부, 지역 정보보호 사각지대 해소 본격 추진
- KISA-과기정통부, ‘글로벌 사이버보안 협력 네트워크’ 회의 개최
- 과기정통부, 장애인·고령자 정보접근성 개선안 마련
- 티젠소프트, NIA 통합 메시지 전송 솔루션 구축
- 이스트소프트, NIA에 AI 아나운서 제공
- 이든티앤에스-정원엔시스, ‘AI 업무 자동화 솔루션’ 사업 협력
- 과기정통부, 데이터 품질 인증 ‘비정형데이터 및 데이터 관리체계’로 확대
- NIA, 급변하는 AI 시대 대응법 ‘국가 데이터 인프라 전략’ 보고서 발간
- NIA, 한국 주도 양자정보기술 국제 표준화 기구 '퀸사' 출범
- NIA, 첨단 기술 경쟁력 높이는 '개발 지원 도구' 공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