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기술은 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할 미래 산업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국제표준화가 필수적이다. 국제 표준은 기술 신뢰성과 안전성을 보장하며, 특히, 서비스와 산업용 로봇 분야의 시장을 선도할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진종욱, 이하 국표원)이 로봇 산업 초격차 기술 확보 지원으로 ‘융복합 로봇 기술 국제표준화’ 전략을 25일 발표했다.

‘표준화 전략’은 지난 5월 발표된 ‘첨단산업 국가표준화 전략’으로, 로봇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된 국제표준화 포럼으로 마련됐다.
정부는 로봇 수요가 산업용과 AI, 5G 기반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물류, 가사, 배송, 돌봄 등의 서비스 분야까지 확대되고 있어 웨어러블, 재활, 가정용 서비스 등의 로봇으로 28년까지 핵심 국제표준 16종을 제안하고, 국가표준(KS) 21종 제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특히, 올해 개발 중인 국제표준안은 장애인이 사용하는 재활보조 로봇의 사용자의 안전 요구 사항을 담고 있으며, 이 연구는 한국로봇산업협회(대표 김진오)와 북미 재활공학 및 보조기술 협회(RESNA)가 공동으로 진행됐다.
오광해 국표원 표준정책국장은 “로봇 산업은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고 산업 생산성을 높여줄 미래 산업이다. 로봇 분야의 국제표준화 주도로 글로벌 시장을 선점할 수 있게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명곤 기자
mgj1020@gttkorea.com
관련기사
- 레노버, 애슐리 고라크푸르왈라 그룹 인프라 솔루션 책임자 임명
- '육군 정찰용' 사족 자율 주행 로봇 '비전 60'...악천후·장애물에서도 작동
- 아태 지역 생성AI 도입 가속 되나, 보안·인프라·환각 등 과제도 산재
- ETRI, 모바일 협동로봇 SW 'IDEA 디자인' 상 수상
- 2025년에 가장 중요한 기술 ‘AI’, 문제는 ‘대중화’
- 국내 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발판 '머스트커넥트 2024' 개최
- AWS,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 여성 인재 양성에 박차
- 자동화와 안전성 요구 증가로 飛上하는 '로봇 SW'
- 아이비스-에이펙스에이아이, '자율주행 SW' 국내 공급
- 셀바스AI, ‘재난·안전 분야’에서 활용되는 음성 인식 기술 소개
- 자율주행 로봇 '카티'...운영효율↑비용↓ 창고 운영 혁신
- AI로 혁신하는 제조업...26개 AI 자율 선도 프로젝트에 3.7조원 투자 기대
- 신속한 화재 진압 "무인 소방로봇에 맡겨요!"
- 국표원, 2031년까지 국제 반도체 표준 39종 개발한다
- ‘웨어러블 기기’, ‘헬스케어·원격진료’ 판도 바꾼다
- 실시간 번역·앱 개발·엔터테인먼트 감상도 되는 다재다능 국산 ‘스마트 글래스’
- 산업부, ‘산업기술 R&D 규정’ 23건 개정
- 산업부, AI 기반 제조 안전 시스템 개발에 298억 원 투자
- 산업부, ‘양자기술 산업화 포럼’ 출범
- 수익과 기회 창출하는 5G 7대 전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