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기술은 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할 미래 산업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국제표준화가 필수적이다. 국제 표준은 기술 신뢰성과 안전성을 보장하며, 특히, 서비스와 산업용 로봇 분야의 시장을 선도할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진종욱, 이하 국표원)이 로봇 산업 초격차 기술 확보 지원으로 ‘융복합 로봇 기술 국제표준화’ 전략을 25일 발표했다.

‘표준화 전략’은 지난 5월 발표된 ‘첨단산업 국가표준화 전략’으로, 로봇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된 국제표준화 포럼으로 마련됐다.

정부는 로봇 수요가 산업용과 AI, 5G 기반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물류, 가사, 배송, 돌봄 등의 서비스 분야까지 확대되고 있어  웨어러블, 재활, 가정용 서비스 등의 로봇으로 28년까지 핵심 국제표준 16종을 제안하고, 국가표준(KS) 21종 제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특히, 올해 개발 중인 국제표준안은 장애인이 사용하는 재활보조 로봇의 사용자의 안전 요구 사항을 담고 있으며, 이 연구는 한국로봇산업협회(대표 김진오)와 북미 재활공학 및 보조기술 협회(RESNA)가 공동으로 진행됐다.

오광해 국표원 표준정책국장은 “로봇 산업은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고 산업 생산성을 높여줄 미래 산업이다. 로봇 분야의 국제표준화 주도로 글로벌 시장을 선점할 수 있게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