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 AI 기업 무하유(대표 신동호)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관하는 ‘AI가 작성한 뉴스 기사에 특화된 유사도 비교 기술 개발’ 과제에 참여기업으로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생성AI를 이용해 작성된 기사 저작물(뉴스 기사)의 유사도를 분석하고, 이를 표준화된 수치로 표현하는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생성AI로 작성된 저작물의 복제·인용·표절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무분별한 확산을 막기 위함이다. 사실 확인이 어려운 AI 작성 기사가 빠르게 확산될 경우, 부정확한 정보를 포함한 뉴스가 광범위하게 퍼질 우려가 있다.

무하유는 이번 과제에서 AI가 만든 콘텐츠의 저작물 유사도 비교 기술 개발을 담당한다. 지난 13년간 AI 표절검사 서비스 ‘카피킬러’를 운영하며 쌓아 온 데이터 분석 역량과 텍스트 유사도 비교 기술, 자연어 처리(NLP) 기술 등을 바탕으로 연구 개발 요건을 구체화했다.
100만 건의 뉴스 데이터 연구를 기반으로 유사도 구성 요소를 마련하고 각 요소별 표준 비율을 정의한다. 또한 유형별 메타 데이터, 형태소 등 유사도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관리하는 기술도 개발한다. 저작물 데이터 확보를 위해 데이터를 수집 및 추출하고, 메타 식별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한편 무하유는 다양한 표절검사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대표 서비스 ‘카피킬러’를 포함해 AI 기반 표·이미지 식별 솔루션 ‘비주얼체커’는 논문 내 삽입돼 있는 표나 이미지의 표절 여부를 판단한다. 작년 9월에는 생성AI가 쓴 문장을 탐지해주는 ‘GPT킬러’ 서비스를 선보였다. AI가 문서를 문단 단위로 분석한 후, 각 부분에서 생성AI가 만들었을 법한 토큰(단어)의 확률을 역추적해 94%의 정확도로 생성AI 사용 여부를 파악한다.
무하유 신동호 대표는 “생성AI를 이용한 기사 저작물의 유사도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며, “표준화된 유사도 수치로 표현하는 기술을 개발해 언론의 신뢰성 향상과 저작권 보호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무하유, 미래 AI 유니콘 지원 'KPAS 2024'에 선정
- 무하유, 생성AI 작성 일본어 문장 잡아내는 ‘GPT킬러’ 출시
- 무하유, 몬스터 역량검사 업데이트...조직 부적응 가능성 예측 강화
- 무하유,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에서 ‘교육부 장관상’ 수상
- 무하유, 채용 관리 플랫폼에 'AI 서류 평가·면접 서비스' 연동
- 무하유, '2024년 초거대 AI 데이터 구축사업' 주관기업 선정
- 무하유, 2년 연속 ‘국회도서관 융복합 서비스 데이터 셋 구축 사업’ 주관 사업자 선정
- 무하유, 세종대에 'AI 기반 올인원 취업 지원 솔루션' 공급
- 생성AI와 BI 결합한 ‘생성BI’로 AI/BI 비즈니스 혁신
- 무하유, ‘생성AI 표절 예방 교육 강의' 공개
- 무하유, 생성AI 문장 탐지 ‘GPT킬러’ 통계 공개....검사 문서 56% 생성AI 사용
- "자기소개서 10건 중 5건, AI 작성 의심"
- 무하유, 클라우드 바우처 지원사업 공급기업 6년 연속 선정
- 채용 자소서 10건 중 7건은 AI가 작성...표절률은 비사용 대비 2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