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전트가 없는 장치는 종종 IT 기기의 보안 관리 범위를 벗어나 있으며, 관리가 되지 않아 공격 표면을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관리되지 않는 자산에는 소비자 장치, 금지된 장비 및 비즈니스 필수 시스템이 포함되며, 이는 규정 준수 문제와 모니터링되지 않는 침입 경로를 만든다.
AI 기반 자산 인텔리전스 기업 Ordr이 에이전트가 없고 관리가 되지 않는 자산이 초래하는 위험을 조사한 ‘2024년 기계들의 부상(Rise of the Machine)’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는 주요 발견, 산업 사례 연구, 하이퍼 커넥티드 환경을 보호하는 프레임워크 등의 내용이 포함됐으며, 의료 산업의 취약성부터 산업 IoT에서의 규정 준수 문제까지, 오늘날의 확장된 공격 표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주요 내용으로 ▲기업의 IoT, OT를 비롯한 자산의 42%가 관리되지 않거나 에이전트가 없는 상황 ▲에이전트가 없는 장치가 기업 위험의 64% 차지 ▲에이전트가 없는 장치의 14%가 인터넷 및 내부 망 모두 연결 ▲에이전트가 없는 장치가 평균 6.2개 장치와 통신해 측면 이동 위협 증가 등이 있다.
특히 주요 자산 위협으로 IT 부서의 인지 없이 조직 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 TV, 게임 콘솔, 피트니스 장비 및 차량, 그리고 중국 등과 같은 국제적 유통에 제재를 받은 국가에서 제조된 장치와 같은 '섀도우 IoT' 장치를 꼽았다.
Ordr의 웨스 라이트(Wes Wright) 헬스케어 부서 최고 책임자는 “관리되지 않고 에이전트가 없는 장치는 오늘날 사이버 보안에서 해결해야 하는 시급한 과제 중 하나”라며 “이 보고서는 모든 산업의 기업들이 가시성을 확보하고, 위험을 줄이며, 복원에 중요한 로드맵을 제공한다.”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주요 인프라 대상 ‘AI 기반 랜섬웨어’, 다크웹에서 불티나게 판매중
- 에이전트·호스트 구성없이 MS 에지 보안 서비스와 결합하는 엔드포인트 제로트러스트 보안 솔루션
- 통합 네트워크 보안 인프라로 ‘수백만 달러 비용 절감’
- AI 기반 지능형 '미디어 라우터'...네트워크 성능·보안성↑
- 美, MS 등 주요 기관 대상 3만 5000건 DDoS 공격 배후 인프라 차단
- 원격 근무·애자일·자동화 수요 증가로 ‘작업 관리 소프트웨어’ 견고한 성장세
- AI와 개의 후각생체 정보 결합한 ‘암 조기 진단’ 기술...정확도 최대 ‘97%’
- 실시간 통신 기술 RTC 탑재 ‘IoT 상호 작용 강화’
- 높아지는 사이버 위협, 만족도 높은 '사이버 보험 선택 전략'
- [2025년 전망] 사이버 보안 주요 트렌드 “AI 공격대비·인증용 패스키 부상·피해 규모 증가 등”
- 기업 민감 데이터 유출 걱정 없는 ‘AI 도입 솔루션’
- 위험 유형별 보안 AI 할당하는 ‘에이전트 보안 플랫폼’...자가 학습으로 성능↑
- 사이버 위기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응하는 ‘대량 알림 솔루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