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 제어는 양자 컴퓨팅에서 큐비트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고 양자 상태의 정확한 전환과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이다. 양자 상태는 외부 간섭, 에너지 변화, 전하 잡음 등으로 쉽게 왜곡되며, 이는 연산 정확도를 크게 저하시킨다. 따라서 높은 충실도와 안정성을 유지하며 양자 게이트를 작동시키고, 복잡한 연산을 처리할 수 있도록 정밀하고 신뢰성 높은 제어 기술이 필수적이다.
기존의 양자 제어 방법인 선형 램프, π-펄스, 랜다우-제너 채널은 양자 상태 분리 및 측정 과정에서 물리적 한계에 부딪혔다. 특히, 급격한 에너지 변화와 외부 간섭이 양자 상태의 왜곡을 초래하고, 전하 잡음과 스핀-궤도 상호작용이 큐비트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저하시켜 양자 컴퓨팅에 필요한 높은 충실도를 구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글로벌 홀로그램 서비스 기업 마이크로클라우드 홀로그램(MicroCloud Hologram, 이하 HOLO)이 이중 양자점(Quantum Dot, QD) 시스템에서 두 개의 중력 홀 스핀 큐비트를 통제할 수 있는 단열 구동 프로토콜을 개발했다.

단열 구동 프로토콜은 양자 컴퓨팅의 '양자 단열 정리'에 기반한 정밀한 에너지 제어 규칙으로, 복잡한 이중 QD 시스템에서 단열 과정에 따라 제어 경로를 설계해 두 중력 홀 스핀 큐비트를 고정밀 양자 상태 충실도로 상전이하는 과정에 적용되는 규칙이다.
이 접근 방식은 급격한 에너지 변화나 외부 방해로 인한 양자 상태 왜곡의 위험을 줄인다. 특히 스핀-궤도 상호작용을 통한 빠른 준 단열 구동은 큐비트 작동 과정에서 큐비트의 안정된 상태를 미세하고 지속적인 변동으로 깨뜨리는 전하 잡음을 억제한다.
또한 단열을 통해 큐비트 초기화에서 안정성을 보장한다. 온도 변동 및 약한 전자기 간섭과 같은 외부 불확실성에 직면해도 큐비트가 설정된 초기 상태로 정확하게 돌아갈 수 있다.
한편 HOLO는 단일 큐비트 및 2큐비트 게이트 작동을 성공적으로 개발 및 구현했으며, 특히 NOT, CNOT 및 SWAP 유사 게이트 작동에서 양자 상태 충실도를 99% 달성했다.
HOLO 관계자는 “단열 구동 프로토콜의 물리적 매개변수와 제어 과정을 지속적으로 최적화해 큐비트 제어를 향상하고, 양자 게이트의 기능적 경계를 확장하며 응용 시나리오를 확대할 것이다.”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현재와 미래의 디지털 핵심 기술, 인공지능·인공지능 반도체·양자 기술”
- 양자 컴퓨팅 신뢰도 높이는 ‘ML 기반 양자 오류 완화 기술’
- 리게티 컴퓨팅, 84큐비트 양자 컴퓨터 칩 ‘앤카-3’ 출시...게이트 정확도 99% 이상
- 국산 양자 기술 시범 서비스 시작...양자 클라우드 대중화 박차
- '실용적 양자 컴퓨팅' 100개 논리 큐비트로 구현...산업과 과학 문제 해결
- 연세대에 들어간 양자컴퓨터 ‘IBM 퀀텀 시스템 원’
- 엔비디아, ‘AI 슈퍼컴퓨터·양자 컴퓨팅 플랫폼’으로 구글 ‘퀀텀 AI 프로세서’ 설계 가속
- 양자 컴퓨팅 위협의 불안, ‘포스트 퀀텀’ 보안으로 해소
- IQM, 2030년까지 내결함성 양자 컴퓨팅 개발
- 국표원, 양자기술 국제표준화 항목 11종 발표
- CPU 레지스터 기반 ‘전가산기 연산 양자 알고리듬’, 큐비트 중첩 구현...연산 효율↑
- ‘FPGA 기반 디지털 양자 컴퓨터 검증 기술’...기존 디지털 컴퓨팅과 원활한 통합·HW 비용절감
- 데이터 노이즈 제거 최적화 ‘적층 희소 오토인코더’...AI 학습 고도화
- 마이크로소프트, 양자 프로세서 마요라나 1 공개...‘단일 프로세서 100만 개 큐비트 지원’
- 다양한 큐비트 테스트 지원 ‘양자 검증 장치’
- 양자 컴퓨팅의 도약과 보안 위협, 투자자가 주목하는 것은?
- 9큐비트 프로세서 탑재 ‘개방형 아키텍처 양자 컴퓨팅 시스템’
- 엔비디아, GH200·GB200 기반 ‘쿠다-X’ 라이브러리 공개...대규모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 최대 11배 가속, 양자 연구도 지원
- 양자컴퓨터 오류 줄이는 광자 큐비트 기술...양자 칩 확장 가능성 높여
- KQC-부산교통공사, 양자 기술로 도시철도 운영 혁신 본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