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새로운 물질 ‘토포컨덕터(Topological Conductor)’ 기반 양자 프로세서 ‘마요라나 1(Majorana 1)’을 20일 공개했다.
손바닥 크기의 마요라나 1은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토폴로지 코어(Topological Core) 아키텍처 기반으로 설계됐다. 이 구조는 단일 프로세서에 100만 개 이상의 큐비트(Qubit)를 집적할 수 있으며, 오류 저항성을 하드웨어에 갖춘 내결함성 구조(fault-tolerant)로 안정적인 양자 연산이 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방식으로 큐비트를 제어해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 기술의 핵심은 새로운 물질 ‘토포컨덕터’다.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진은 반도체인 인듐비소와 초전도체인 알루미늄을 원자 단위에서 정밀하게 결합해 토포컨덕터라는 새로운 재료 스택을 제작했다.

토포컨덕터는 극저온에서 토폴로지 초전도성을 유지하면서 고체·액체·기체와는 다른 ‘토폴로지 상태(Topological state)’를 형성한다.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양자 입자 ‘마요라나 입자(Majorana particle)’를 관찰하고 제어해 초소형·초고속·고안정 큐비트를 생성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번에 공개한 프로세서로 양자 컴퓨터가 수년 내에 다양한 산업 및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재료 과학, 의료 및 생명 과학, 기후 변화, 지속 가능한 에너지 연구 등에서 양자 컴퓨터의 역할이 중요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체탄 나약(Chetan Nayak) 퀀텀 하드웨어 부사장은 “100만 큐비트 규모로 확장 가능한 양자 컴퓨터는 가장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라며 “이 기술이 실현되면 자가 치유 소재, 지속 가능한 농업, 안전한 화학 물질 개발 등 다양한 혁신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양자컴퓨팅 안정성·정확도 높이는 양자 제어 ‘단열 구동 프로토콜’
- 국산 양자 기술 시범 서비스 시작...양자 클라우드 대중화 박차
- 전세계가 주목하는 국산 '양자컴퓨팅 에뮬레이터'
- IBM, ‘AI·양자컴퓨팅 위협’ 걱정없는 보안 플랫폼 ‘IBM 가디엄 데이터 시큐리티 센터’
- 개인 데이터 보안 강화한 ‘트러스트 데이터 커넥톰’...양자 보안 개선 본격화
- 라온시큐어, 전자서명과 구간암호화 보안 솔루션에 PQC 적용
- 연세대에 들어간 양자컴퓨터 ‘IBM 퀀텀 시스템 원’
- 5000개의 2개 큐피트 지원 양자 컴퓨터 'IBM 퀀텀 헤론' 다양한 과학 문제 해결...데이터처리 50배 빨라져
- ETRI, 양자 컴퓨팅 8광자 큐비트 칩 개발
- 서울대 연구진, 고품질 반도체 대량 생산 길 여는 반도체 신기술 ‘하이포택시’ 개발
- 금융사 내부망에서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 도입, AI 혁신 가속화
- AWS, 양자 컴퓨팅 칩 시장에 '오셀롯'으로 등판...오류 정정 비용 90% 절감
- 수십억 환자 데이터 기반 통합 음성 AI 어시스턴트 ‘마이크로소프트 드래곤 코파일럿’
-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 AI가 이끄는 비즈니스 혁신 제시
- 다양한 큐비트 테스트 지원 ‘양자 검증 장치’
- 양자 컴퓨팅의 도약과 보안 위협, 투자자가 주목하는 것은?
- 양자 컴퓨터 성능 향상하는 ‘다중 시뮬레이터 협업 알고리듬’
- 양자 컴퓨팅 상용화, 인재·소프트웨어 생태계·통합 오케스트레이션이 핵심 과제
- AI 기반 자가 치유 네트워크 ...운영비 절감과 장애 대응 자동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