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산업과 기술 환경은 정밀한 작업과 안전한 상호작용을 요구하면서도 비용 효율성과 유연성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기존의 로봇 기술은 단단한 구조와 높은 비용으로 인해 한계가 있었으며, 특히 인간과의 안전한 협업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드럽고 적응 가능한 소프트 로봇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범용 소프트 로봇 분야의 글로벌 기업 위손 로보틱스(Wisson Robotics)가 CES 2025에서 필라봇(Pliabot) 기술을 기반으로 한 소프트 로봇과 다양한 응용 제품의 라이브 데모를 선보였다. 이는 인간 근육을 모방해 적응성과 비용 문제를 해결하는 정밀한 엔지니어링과 신경 지능을 결합한 소프트 로봇 공학 기술이다.

필라봇 기술은 인간의 근육 특성을 모방한 생체공학 기반의 소프트 로봇으로, 5가지 특징으로 로봇 도입의 과제였던 적응성과 비용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① 높은 하중 대 중량 비율: 2000:1의 비율을 달성해 기존 리지드 조인트 시스템보다 월등한 성능을 제공한다. 이는 대규모 작업에서도 효율성을 높인다.
② 고도의 환경 저항성: 방수, 방진, 부식 저항 및 극한 조건에서도 작동 가능하다.
③ 작업 적응성: 유연한 구조를 통해 정밀한 자세 제어와 안정성을 유지하며, 다양한 작업 환경에 쉽게 적응한다.
④ 안전성 강화: 충격 흡수를 고려한 부드러운 소재와 수동 변형을 허용하는 설계로 인간과 안전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다.
⑤ 비용 절감: 폴리머 기반 유연 소재와 3D 프린팅 기술을 채택하여 고가 센서 없이도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하다.
이 기술은 특히 고도 정밀 작업 솔루션(Orion AP3-P3 Pliabot Aerial Tethered Cleaning System), 공중 정밀 작업(Orion AP30-N1 Pliabot Aerial Manipulator), 전기차 충전 솔루션(Pliabot Automatic Charging Robot)과 같은 다양한 상업적 응용 분야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다.
필라봇 기술은 산업 전반에 걸쳐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안전성을 보장하고 있다. 특히, 자동화와 인간-기계 상호작용이 중요한 산업 환경에서 적응성 높은 솔루션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 기술은 물류, 제조, 청소, 전기차 충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의 한계를 초월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며, 소프트 로봇 공학의 상업적 도입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 “2030 로봇의 미래…AI·AR/VR 신기술 접목과 인간 환경 통합으로 인간-기계 간 협력 시대 활짝”
- [CES 2025] 서비스형 에이전트 탑재 ‘다용도 휴머노이드’...인간-기계 상호작용·정밀 작업 수행
- [CES 2025] 합성 데이터 학습으로 정교해지는 휴머노이드 로봇...엔비디아 ‘아이작 GR00T’ 라인업
- 엔비디아, 생성 물리 AI로 옴니버스 확장...산업과 AI 융합 확대
- [CES 2025] AI·센싱 기술 융합된 ‘완전 디지털 라이다’…로봇 자율성·효율성↑
- [CES 2025] 정밀 제어·테스트 자동화 AI 에이전트...제조산업 설계 및 운영 간소화
- [CES 2025] AI 기반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개발 솔루션 대 공개
- [CES 2025] 딥엑스-DFI, 스마트 도시와 미래 산업 기반 차세대 에지 AI 플랫폼 선봬
- 유온로보틱스, “비전AI 기반 AMR, 로봇 팔레타이징으로 시장 선도할 것”
- 휴머노이드 로봇의 동작 유연성·정확도 높이는 ‘하모닉 드라이브’
- 엘리베이터 타는 'AI 청소로봇'...고층 빌딩 청소 척척
- [CES 2025] ‘에지 서버·로봇 HW/SW·AI 보안·개발 보드·ADAS’ 에지 컴퓨팅 혁신의 주역
- AI 지향점 “마음이 담긴, 선을 위한, 인간적인 AI”
- 인간처럼 움직이는 휴머노이드 ‘PM01’...광학 모션 캡처와 종단 간 신경망으로 진화
- 국산 ‘소프트 로봇’ 기술, 부드럽고 강력한 파워 구현
- 도구공간-현대건설, 스마트시티 순찰로봇 실증사업 성공적 완료
- 휴머노이드 로봇 훈련소...맞춤형 실전 훈련으로 대규모 로봇 개발
- AI 기반 광고 성공 전략...‘데이터 품질 강화·기술 통합’
- 3D 바이오프린팅·AI 결합 ‘맞춤형 잇몸 이식 기술’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