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에지 컴퓨팅과 다중 센서 융합 기술의 한계로 인해 실시간 데이터 처리와 분석에서 병목 현상이 발생했으며, 다양한 센서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처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기존 스테레오 비전 기술은 공간 인식의 정확성과 정밀도에서 한계를 보였고, 고해상도 이미지 처리와 3D 깊이 맵 생성을 동시에 구현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자율주행 시스템에서는 환경 변화에 대한 신속한 적응이 부족하고, 복잡한 환경에서 효율적인 내비게이션 솔루션을 제공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기술적 제약은 에너지 효율성과 개발 비용 증가로 이어져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개발 속도를 제한하는 주요 요인이었다.
글로벌 3D 센서 기업 eYs3D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eYs3D’)가 CES 2025에서 ▲HMI(인간-기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통합한 멀티 센서 컨트롤러 IC ‘eSP936’ ▲공간 인식 솔루션 ‘YX9170’ ▲‘YX9670’ 내비게이션 개발 솔루션을 공개 한다.
이번 발표는 eYs3D의 독자적인 XINK-II 에지 공간 컴퓨팅 플랫폼과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 기술인 센스 앤 리액트(Sense and React)를 통합하여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의 발전을 위한 강력한 지원을 제공한다.

AI와 에지 컴퓨팅 기술 발전,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의 중심
AI 이미지 센싱과 에지 컴퓨팅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로봇 및 지능형 무인 차량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eSP936 멀티 센서 이미지 컨트롤러 IC는 최대 7개의 비주얼 센서를 동기화해 처리하며, 센스 앤 리액트 개발 인터페이스와의 결합으로 높은 이미지 인식 정확도와 지능형 제어를 지원한다. 이는 자율 주행 차량, 자율 이동 로봇, 드론 등 다양한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서 핵심 기술로 작용할 전망이다.
eSP936은 멀티 모달 비주얼 언어 모델(VLM)과 통합되어 실시간 AI 에지 컴퓨팅 기능을 제공하며, 고속 2D 이미지 처리 및 3D 깊이 맵 생성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복잡한 환경에서도 정밀한 공간 인식이 가능하다. 또한, 산업 및 서비스 로봇에 적용하면 더 효율적인 연산과 자동화를 지원하며, 드론, 무인 수상선(USV), XR(확장 현실)과 같은 몰입형 애플리케이션에도 적합하다.
eSP936은 MIPI+USB 동시 처리 기술, 내장 DRAM 칩, 광각 이미지 왜곡 보정 등 고급 기술을 통해 멀티 뷰 3D 깊이 맵 생성 및 고품질 이미지 출력을 보장한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유연하고 효율적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AI 기반의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다.
공간 인식의 새로운 표준, YX9170
공간 인식 솔루션 YX9170은 eSP936과 XINK-II 에지 공간 컴퓨팅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중 센서 융합과 AI 기술을 활용해 공간 인식과 인지에서 도약을 이루었다. 듀얼 깊이 센서와 최대 1280x720 해상도의 이미지를 지원하는 4개의 RGB 카메라 동기화 기술은 기존 스테레오 비전 측정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다.
또한, YX9170은 AI 알고리듬을 통해 실시간 다중 객체 인식을 지원하며, 시스템의 연산 부하와 지연 시간을 30% 감소시킨다. 이 솔루션은 자율주행 차량과 산업 로봇에서의 활용을 포함해 맞춤형 공간 인식 시스템 설계를 지원한다.
자율 주행 내비게이션 혁신하는 YX9670
YX9670 내비게이션 솔루션은 첨단 다중 센서 융합과 AI 기술을 통해 자율주행 차량에서 환경 인식 및 내비게이션 효율성을 높인다. 듀얼 깊이 센서 시스템, 278도의 파노라마 시야 제공, 열화상 센서 통합 등으로 복잡한 환경에서도 높은 탐지 능력을 유지한다.
이미 자율 선박에서 활용하고 있는 YX9670은 물류 선박, 환경 모니터링 선박, 특수 무인 해양 애플리케이션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내비게이션 지원을 제공하며, 자율 시스템 개발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에지 공간 컴퓨팅 XINK-II 플랫폼과 인간 기계 상호작용 개발 도구
eYs3D는 개발자들을 위해 XINK-II 에지 공간 컴퓨팅 플랫폼과 센스 앤 리액트 인간-기계 상호작용 개발 도구를 제공한다. XINK-II는 ARM Cortex-A 및 Cortex-M CPU와 NPU를 통합하여 높은 연산 성능과 저전력 효율성을 동시에 제공하며, AI 합성 신경망(CNN) 기술을 활용해 에지 AI 장치의 객체 인식 성능을 극대화한다.
센스 앤 리액트는 LLM과 CNN 기술을 결합하여 자연스러운 인간-기계 상호작용을 지원하며, 환경 감지 및 언어 프롬프트를 활용해 지능형 경험을 제공한다. 이는 드론, XR, 화상 회의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 가능하며, 차세대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기술의 방향을 제시한다.
eYs3D는 XINK-II 플랫폼과 eSP936을 중심으로 한 공간 인식 및 내비게이션 기술을 통해 AI 기반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관련기사
- 유온로보틱스, “비전AI 기반 AMR, 로봇 팔레타이징으로 시장 선도할 것”
- 유통 업체 52%, "AI가 상품 도난 및 분실 방지 해결책"
- 에지 환경에서 AI 비전 애플리케이션 개발 비용·시간↓
- 마우저, 로보틱스 및 머신 비전 애플리케이션 개발용 카메라 모듈 공급
- '육군 정찰용' 사족 자율 주행 로봇 '비전 60'...악천후·장애물에서도 작동
- ETRI, 모바일 협동로봇 SW 'IDEA 디자인' 상 수상
- 슈퍼브에이아이-시스코, 비전 AI 개발 협력으로 글로벌 시장 확대
- 인터넷 없어도 네트워크 지원하는 ‘에지 서버’
- [CES 2025] ‘프라이버시·진단·보안·면역치료’ AI 스마트 의료 4대 혁신 기술
- [CES 2025] 총기 위협 감지 AI 에이전트...“1초 만에 총기 사고 막는다”
- 생체공학 근육과 신경 지능 결합한 소프트 로봇 기술…적응성↑비용↓
- “5분 만에” 상용화 가능한 비즈니스 앱 개발 생성AI...보안성·유연성·확장성 보장
- TI, 에지 AI로 차량 실내 경험 재구성하는 레이더 센서와 오디오 프로세서 출시
- 딥루트닷에이아이-스마트, 지능형 자율주행 기술 개발 박차... 연말까지 20만 대 생산
- 양자 방식 알고리듬과 동적 리소스 최적화로 푸는 “AI 워크로드와 에너지 소비 문제”
- AI와 기술 발전, 우려와 해결책의 양면성
- 라즈베리 파이 기반 차세대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HMI 솔루션..."산업 자동화와 IoT 혁신”
- “효율·성능·보안 강화한 Armv9 에지 AI 플랫폼으로 차세대 AI·IoT 시대 주도하겠다”
- HTC 바이브, 교육 및 기업 연수에 최적화된 XR 기기 관리 솔루션 국내 공급
- AI 기반 자동 이미지 신호 처리 시스템...자율주행 및 AIoT 활용도 높아
- ‘전방향 물류 자율 이동 로봇’...고중량 재료 운송 자동화·최대 100대 로봇 관리
- XR 기기용 고성능 광학 솔루션...경량·고해상도·저전력 구현
- 딥파인, 산업통상자원부 95억 규모 '지식서비스산업 기술개발사업' 수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