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코리아(지사장 김경훈)가 지난 24일 ‘2025 구글코리아 디지털책임위원회(Digital Responsibility Committee, 이하 ‘위원회’)’ 개회식을 열고, 책임 있는 디지털 혁신과 지속 가능한 생태계 조성을 위한 논의를 본격화한다고 26일 밝혔다.

구글코리아 '2025 디지털책임위원회' 개회식 현장 사진
구글코리아 '2025 디지털책임위원회' 개회식 현장 사진

2024년 출범한 위원회는 AI, 콘텐츠, 앱·게임 산업 등 디지털 생태계의 주요 이슈별 전문가 포럼 ‘책임감있는AI포럼’, ‘유튜브오픈포럼’, ‘앱생태계포럼’을 운영해 산업별 지속가능한 발전을 모색해왔다.

올해 위원회 2기는 IT·기술, 법률, 미디어·콘텐츠, 비즈니스, 정책, 소비자 보호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43명이 참가해 포럼 간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유튜브 ‘잠시만요 캠페인’ 및 구글플레이 ‘창구 프로그램’ 등 구글코리아의 이니셔티브와 연계한 포럼을 개최해 실천 방안을 도출할 예정이다. 그리고 업계 관계자 및 정책 결정자들과의 교류를 확대해 실제 정책 및 산업 환경 개선으로 이어지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앱생태계포럼은 ‘크로스플랫폼 트렌드’, ‘K-엔터테인먼트 앱의 글로벌 진출’, ‘AI 기술을 활용한 앱 생태계 혁신’ 등의 주제를 다루며, 글로벌 전문가 및 스타트업과 협력해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와 연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책임감있는AI포럼은 지난해 말 통과된 AI 기본법과 관련한 AI 규제와 함께, ‘AI 에이전트’, ‘AI 로봇 기술’ 등 기술적인 발전 방향을 살펴보고 AI와 저작권, 데이터 프라이버시, 공익적 가치 등 사회 윤리적 문제에 대한 논의도 진행할 예정이다.

유튜브오픈포럼은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디지털 리터러시’ 등 콘텐츠 산업의 최신 트렌드와 이슈를 논의할 예정이다.

구글코리아 김경훈 사장은 “올해는 ‘책임 있는 디지털 혁신’을 가치로 각계 전문가 분들의 고견을 적극적으로 경청하면서 건강한 디지털 생태계를 위한 더 많은 역할과 책임을 함께 고민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