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개발 현장은 반복적이고 수동적인 작업으로 인한 비효율성과 코드 품질 관리의 어려움에 지속적으로 직면하고 있다. 특히, 스프린트 회고나 코드 리뷰, PR 정책 적용 등은 엔지니어링 리소스를 소모하며 일정 지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개발 생산성을 높이고 운영 복잡성을 줄일 수 있는 자동화 기반 기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엔지니어링 플랫폼 리니어B(LinearB)가 자동 반복 요약, 코드 검토 제안 및 AI 코드에 대한 PR 정책 적용 등의 소프트웨어 개발 워크플로를 자동화하는 통합된 AI 기반 기능 세트를 출시했다.
새롭게 추가된 기능에는 ▲자동 반복 요약(Auto Retrospective Summaries), ▲AI 리뷰 제안(AI Review Suggestions), ▲PR 정책 자동화 기능이 포함되며, 이 모든 기능은 기존 고객에게 추가 비용 없이 제공된다.
리니어B는 이번 기능 출시를 통해 기존 워크플로를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수동 오버헤드를 줄이고, 팀 표준을 일관되게 적용하며, 개발 조직의 제공 속도를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회고 준비 없는 스프린트, AI 요약 자동 생성
소프트웨어 개발 시에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일정한 기간(보통 1~2주) 동안 팀이 정해진 작업을 집중적으로 수행하는 반복 주기인 스프린트를 수행하고 스프린트가 끝난 후 팀원들이 모여 잘된 점, 문제점, 개선 방안을 공유하고 다음 스프린트에 반영하는 스프린트 회고를 한다.
그러나 회고를 위한 데이터 수집과 정리가 수작업에 의존해 시간이 오래 걸리고, 주관적 판단에 따라 논의의 질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주요 문제로 지적된다.
새롭게 도입된 자동 반복 요약 기능은 개발 팀이 스프린트 회고를 준비하기 위해 수작업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요약하는 부담을 제거한다. 깃허브(GitHub), 지라(Jira) 및 CI/CD 시스템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해 ▲무엇이 잘 되었는지,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라는 세 가지 주요 질문에 대한 구조화된 보고서를 생성한다.
이 보고서는 슬랙(Slack)이나 마이크로소프트 팀즈(Microsoft Teams)로 자동 전달되며, 속도 추세, 사이클 시간, 커밋 대비 전달 정확도, 검토 지연, 협업 패턴 등의 핵심 지표를 포함하고 있어 팀 전체의 성과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AI 기반 코드 리뷰 지원으로 오류 사전 예방
리니버B는 또한 AI 리뷰 제안 기능으로 풀 리퀘스트(PR) 리뷰 프로세스를 한층 자동화했다. 이 기능은 최근 출시된 AI PR 디스크립션(Descriptions)의 연장선으로, 변경된 코드의 요지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정리하여 검토자에게 제공하며, 잠재적인 오류나 리스크를 사전에 식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코드 리뷰가 시작되기 전에 주요 문제점을 미리 인지할 수 있어, 반복적인 수정 과정을 줄이고 리뷰 속도와 품질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정책 기반 자동화로 보안과 규정 준수 강화
이번 릴리스에는 확장 가능한 PR 정책 자동화 기능도 포함됐다. 이를 통해 팀은 민감한 파일에 대한 보안 리뷰 요구, 디렉토리 기반 리뷰어 지정, 리뷰 없는 코드 병합 차단, 테스트 커버리지 부족 PR에 대한 라벨링, AI 작성 PR에 대한 추가 검사 등 다양한 조건 기반 자동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SOC 2와 같은 보안 및 규정 준수 기준을 충족하면서도 개발 속도를 저해하지 않고 고품질 코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정량적 성과 추적 메트릭 제공
리니어B는 이번 AI 기능과 자동화 기술의 효과를 정량화할 수 있는 보고 기능도 함께 제공한다. 조직은 변경 실패율, 재작업률, 리뷰 심도 등 주요 지표를 통해 워크플로의 개선 여부를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 메트릭은 리니어B 내부뿐 아니라 타사 도구와도 연동 가능하며, 팀별 정책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생산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
모든 기능은 리니어B의 핵심 플랫폼에 기본 통합되어 있으며, 깃허브, 깃랩, 지라, 슬랙, 마이크로소프트 팀즈 등 개발 팀이 사용하는 주요 툴과 호환된다.
리니어의 공동 창립자이자 CEO인 오리 케렌(Ori Keren)은 “팀이 가시성을 확보하고 마찰을 줄여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고품질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기술을 발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AI와 자동화는 엔지니어링 팀의 운영 방식을 바꾸고 있다. 이번 새로운 기능을 통해 팀이 반응적 소방 활동에서 사전 예방적 정책 기반 엔지니어링 전환을 돕고, 복잡성을 추가하지 않고도 속도, 일관성 및 운영적 명확성을 향상시킨다.”라고 강조 했다.
관련기사
- ‘AI 기반 코드 보안 플랫폼’...코드 취약점·각종 보안 오류 사전 탐지 및 대응
- 통합 개발 환경 단위 테스트 지원 차세대 AI 코딩 에이전트
- 실시간 연결성·보안 모두 잡는 ‘AI 게이트웨이 시장’...AI 배포가속으로 견고한 성장세
- AI 기반 데브옵스 최적화 도구 ‘리더십 대시보드’…개발 생산성과 ROI 극대화
- 깃허브에 숨은 '깃배놈' 맬웨어...개인 데이터 탈취 신종 위협
- ‘클라우드 인프라 자동화 SW’ 견고한 성장세...‘코드 자동화·리소스 최적화·개발자’가 시장 견인
- 앱섹팀 희소식 ‘자연어 코드 정책’…애플리케이션 보안 시간 절약 및 위험감소
- PTC, 김도균 본사 부사장 겸 한국 지사 대표 선임
- 자동화와 제로 트러스트로 데이터 보안·거버넌스 강화한 ‘데이터 마켓플레이스’
- 앱 보안·컴플라이언스 자동화하는 AI 보안 에이전트
- 퀘스트소프트웨어, '파트너 킥오프 행사에서 AI 시대 동반 성장 비전 제시
- ‘공정성·편향·설명 가능성·거버넌스’ 평가 및 대응 ‘AI 위험 평가 프로그램’
- NH투자증권, 슬랙 도입으로 업무 효율과 고객 경험 향상
- AI 신뢰성 확보하는 ‘거버넌스 자동화 플랫폼’, 데이터 품질 기반 모델 인증 체계 강화
- AI 코드 생성 즉시 보안 내장...실시간 예방으로 백로그·위험 줄인다
- AI 코드 취약점, 앱 신뢰 붕괴...사용자 4명 중 1명은 서비스 포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