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부문 디지털 전환이 본격화되면서, 민간과 같은 속도로 협업툴을 도입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까다로운 조달 절차와 보안 요건 등으로 공공기관의 협업툴 도입은 여전히 장벽이 높다.
협업툴 플로우(flow)를 운영하는 마드라스체크(대표 이학준)가 별도 입찰이나 기술검토 없이 공공기관이 즉시 도입할 수 있는 조달청 제3자 단가계약 등록에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공공에 최적화된 UI로 빠른 도입
플로우는 이미 한국가스공사, 국회예산정책처, 대한민국 해군, 한국인터넷진흥원 등 주요 국가기관에 도입되어 실사용 사례를 확보했다. 화성시문화재단, 부산시설공단 등 지자체 산하기관, 서울대, 한양대, 경찰대학 등 교육기관으로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공공기관에서는 이메일, 전화, 대면 보고 중심의 보수적인 업무방식에서 벗어나, 플로우를 통해 실시간 디지털 협업으로의 전환을 이루고 있다.
플로우는 프로젝트 이슈 처리, 일정 공유, 메시지, 목표 관리, TFT 및 신사업 관리까지 단일 플랫폼에서 모두 지원하며, 직관적인 UI와 다국어 지원으로 교육 없이도 빠르게 정착 가능한 점이 강점이다.
플로우는 현재까지 60건 이상의 온프레미스형 구축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삼성전기, KT, S-OIL, DB금융투자, IBK자산운용 등 대기업 및 금융사에서도 도입되어 민간과 공공 모두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다. GS 인증 1등급을 기반으로 한 보안성과 안정성 역시 공공과 금융 클라우드 시장에서 경쟁력을 뒷받침하고 있다.
플로우는 올해 내로 공공 클라우드 보안 인증(CSAP)을 완료할 계획이며, 이를 기반으로 공공 전용 협업 플랫폼으로의 정체성을 강화할 방침이다.
마드라스체크 이학준 대표는 “구축형 협업 플랫폼 중 유일하게 조달청 디지털서비스몰에 등록되어 매우 기쁘다. 공공기관의 디지털 전환을 함께 만들어가는 대표 협업툴이 되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AI 기반 실시간 협업툴 ‘플로우’, 공공 디지털 혁신 가속화
- ‘전자결재·이메일·캘린더’ 그룹웨어 통합 올인원 협업툴 ‘플로우’
- AI 협업툴 '플로우', 일본 현지화로 엔터프라이즈 시장 진출 박차
- AI 기반 올인원 협업툴 ‘플로우’...신입부터 임원까지 협업 효율·만족도 OK!
- 제조 기업 화승, AI 협업툴 '플로우'로 보안성·업무 효율 향상
- 온프레미스 협업 솔루션...쿠버네티스·가상화 플랫폼 완전 지원
- AI 협업툴 ‘잔디’, AWS 마켓플레이스 등록
- LLM·RAG·AI 에이전트 통합한 지능형 업무툴로 진화하는 ‘플로우 4.0’
- 코오롱FnC, ‘플로우’ 전사 도입...국산 SaaS 글로벌 도약 신호탄
- 협업툴 플로우, CR홀딩스전 그룹사 공급 계약...제조업 3대 난제 해결 박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