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 속도가 빨라지면서 기업들은 생성AI와 AI 에이전트를 활용한 혁신을 요구받고 있다.
삼성SDS(대표이사 사장 이준희)는 9월 11일 서울 코엑스에서 고객초청행사 ‘리얼 서밋(REAL Summit) 2025’를 열고 이에 대한 해법으로 ‘AI 풀스택(Full-stack)’ 전략을 공개했다. 이번 행사에는 현장 8000명, 온라인 7000명 등 총 1만5000여 명이 참여해 AI 전략에 큰 관심을 보였다.

이준희 대표이사는 기조연설에서 “AI 어시스턴트를 넘어 AI 에이전트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고 있다”며, 업무 현장에서 자율적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AI의 가능성을 강조했다. 출장 항공편 예약 사례를 통해 단 한 번의 요청으로 일정을 분석하고 최적의 선택을 실행하는 AI의 가치를 제시하며, “AI 트랜스포메이션은 단순 기술 도입이 아닌 전사적 변화”라고 말했다.
삼성SDS는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을 기반으로 생성형 AI 플랫폼 패브릭스(FabriX), 협업 솔루션 브리티 코파일럿(Brity Copilot), 자동화 솔루션 브리티 오토메이션(Brity Automation)을 중심으로 AI 풀스택을 제공한다. 이는 인프라, 플랫폼, 솔루션, 컨설팅을 아우르는 통합적 서비스로, 기업의 AI 혁신을 전방위적으로 지원한다. SAP 피터 플루임 총괄은 “삼성SDS의 데이터센터를 통해 SAP S/4HANA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제공한다”고 소개했고, 마이클 델 회장은 “삼성SDS와 델의 인프라 전문성이 AI 혁신을 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행사에서는 KB금융그룹, 원익그룹, 업스테이지 등 국내 기업들의 AI 도입 사례도 공유됐다. KB금융그룹은 패브릭스를 활용해 금융 상담, 자산관리 등 다양한 AI 에이전트를 도입해 생산성과 고객 만족도를 높였다. 원익그룹은 브리티 코파일럿의 회의록 자동생성, 실시간 통역 기능을 통해 글로벌 협업 성과를 소개하며, AI 업무비서 ‘퍼스널 에이전트’를 통한 업무 연속성 강화 기대를 밝혔다.
또한 패브릭스는 MCP(Model Context Protocol), A2A(Agent-to-Agent) 기술을 기반으로 에이전트 제작과 협업을 지원하며, 브리티 코파일럿은 인터프리팅·브리핑·큐레이팅·보이스 에이전트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해 개인화된 AI 비서로 발전하고 있다. 이 외에도 행정안전부의 AX 혁신 사례, 고용노동부의 클라우드 기반 근로감독관 AI 지원 시스템 등 공공 부문 도입 사례도 주목을 받았다.
삼성SDS 이정헌 전략마케팅실장(부사장)은 “앞으로도 AI와 클라우드 기술을 기반으로 기업 고객의 트랜스포메이션을 성공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리얼 서밋 2025는 삼성SDS가 글로벌 파트너 및 고객과 함께 AI 혁신의 방향을 공식화한 자리로 평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