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의 급속한 확산으로 기업들은 데이터 관리와 인프라 최적화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비용 상승, 라이선스 모델 변화, 클라우드 비용 증가, 급격한 워크로드 변화 등은 전 세계 기업들의 주요 고민으로 꼽힌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IT 기업들은 생성AI에 최적화된 확장성과 복원력을 갖춘 인프라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2025가 개최됐다.
델 테크놀로지스는 9월 17일 국내외 IT 업계 리더들이 참석한 가운데 ‘델 테크놀로지스 포럼 2025’를 개최했다.

행사 시작은 김경진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 대표의 환영사로 시작됐으며, 이어 비벡 모힌드라 수석부사장은 전 세계 절반 가까운 기업이 이미 생성AI 여정의 중간 지점에 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데이터와 가까운 곳에서 AI를 실행해 워크로드 수요를 충족시켜야 한다고 설명하며, 효율화된 분리형 인프라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엘리스그룹 김재원 CEO는 AI 교육 플랫폼과 클라우드 인프라를 연계한 AI 생태계 혁신 전략을 소개하며, AI 특화 이동형 모듈러 데이터센터(PMDC)를 공개했다. 수퍼톤 이교구 CEO는 AI 보이스 기술을 중심으로 ‘기술과 창의성의 만남’을 주제로 발표해 참가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두 연사는 생성AI 시대의 산업 혁신을 이끌어가는 구체적 사례를 공유하며, 글로벌 무대에서 한국 기업의 역량을 부각시켰다.
오후에는 인공지능, 모던 데이터센터, 모던 워크플레이스 3개 트랙에서 총 27개 세션이 진행됐다. 인공지능 트랙에서는 델 AI 팩토리와 델 AI 데이터 플랫폼이 소개되며, 데이터·인프라·보안 통합 전략이 논의됐다. 모던 데이터센터 트랙에서는 네이티브엣지와 델 자동화 플랫폼을 통한 클라우드 및 AI 워크로드 혁신 방안이 제시됐다. 모던 워크플레이스 트랙에서는 AI PC 기반의 미래형 업무 환경 전략이 공유됐다.
엑스포 전시장에서는 델과 파트너사의 최신 IT 솔루션이 전시됐다. 특히 수퍼톤 체험 부스는 참가자들이 직접 AI 보이스 클로닝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 큰 관심을 모았다.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AMD 등 글로벌 기업과 삼성SDS, SK하이닉스, 메가존클라우드 등 국내 40여 개 파트너사가 참여해 자사 기술과 솔루션을 직접 소개했다.
브랜드 전략가 노희영 대표가 강연한 ‘우먼 인 테크놀로지’ 세션에서는 다양성과 포용성 가치가 강조됐다.
김경진 대표는 “AI 모델의 성과는 적절한 인프라에 달려 있다”며 “델은 PC에서 데이터센터, 클라우드까지 아우르는 엔드-투-엔드 포트폴리오와 개방형 생태계를 기반으로 기업의 AI 도입과 확장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포럼은 AI 혁신과 인프라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업계에 실질적인 실행 방향을 제시한 자리로 마무리됐다.
관련기사
- 델 테크놀로지스, ‘파워프로텍트 데이터도메인 올플래시’ 신제품 공개
- 내부 위협 보호, 기업 보안 최우선으로 급부상
- 다올티에스-모코엠시스-애자일소다, 지능형 문서중앙화 AI 시스템 구축 협력
- 韓, AI 구현 역량 성숙 단계 진입...인프라·데이터·파트너십이 ROI 관건
- 엔터프라이즈 AI 성능 극대화...델, 엔비디아·엘라스틱과 데이터·GPU 통합
- 델 테크놀로지스, ‘엔비디아 RTX 프로 블랙웰’ 탑재 모바일 워크스테이션 6종 출시
- 델 테크놀로지스, 에이전틱 AI로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 최적화 실현
- CPU와 GPU 융합, 엔비디아·인텔이 여는 AI 산업 구조 대전환
- 인텔 가우디3 통합 AI 서버...‘델 파워엣지 XE7740’
- 델 테크놀로지스, 프라이빗 클라우드 스토리지 AI 자동화·보안 복원력 강화
- 오픈랜·클라우드랜 구축 단일 서버 ‘델 파워엣지 XR8720t’...TCO 절감·AI 지원
- IBM-AMD-자이프라, 차세대 AI 인프라 혁신 협력
- 델 테크놀로지스, SMB 특화 친환경 PC ‘델 프로 에센셜’ 4종 출시
- 성공적인 AI 도입, ‘인프라·데이터보안·전문성’이 관건
- 델 테크놀로지스, AI 인프라 전면 업그레이드...엔비디아 기반 데이터센터 효율 극대화
- 델 테크놀로지스-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통합 생태계 강화...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통합 자동화 본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