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주요 대학에서 AI를 활용한 집단 부정행위가 잇따라 적발되며, 대학가에서 AI를 활용한 부정행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비대면 시험뿐 아니라 대면 시험에서도 생성AI를 활용한 사례가 나타나며 교육 현장의 평가 공정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부 대학은 시험을 전면 무효 처리하는 등 강력한 조치를 취했으며, 이에 따라 대학 현장에서 AI 탐지 솔루션 수요가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AI 기업 무하유(대표 신동호)가 대학가 GPT킬러 사용량 통계를 분석한 결과, 2학기 중간고사 시즌인 10월 대학생들의 GPT킬러 검사량이 작년 동기 대비 3.9배 증가했다고 14일 밝혔다.
무하유의 AI 작성 탐지 솔루션 ‘GPT킬러’는 98% 높은 정확도로 생성AI 작성 여부를 판별하며, 자사 표절검사 서비스 ‘카피킬러’에 탑재돼 있다. 대학에는 학생들의 자가검증용인 ‘카피킬러 캠퍼스’와 교수자의 평가용인 ‘CK브릿지’로 제공된다.
2025년 10월과 2024년 10월을 비교한 결과, 학생들이 자가검증을 위해 사용하는 카피킬러 캠퍼스에서 GPT킬러 기능으로 검사한 문서량은 17만 7000여 건에서 64만 7000여 건으로 전년 대비 약 3.6배 증가했다. 학생들 스스로 AI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제출 전 자가검증 니즈가 커진 것으로 해석된다.
교수자가 평가를 위해 사용하는 검사 문서량 역시 10만 1000여 건에서 43만 7000여 건으로 전년 대비 약 4.3배 증가했다. 교수자들도 학생들의 AI 활용을 인지하고 과제물 검사 시 카피킬러와 GPT킬러를 함께 사용하려는 수요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사전 자가검증이 실제 표절률 감소에도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2학기 중간고사 기간인 10월에 카피킬러 캠퍼스에서 검사된 문서 중 표절률 50% 이상인 문서는 40%에 달했지만, 실제 제출용 시스템인 CK브릿지에서는 같은 구간이 20.6%로 절반 수준이었다. 학생들이 AI나 기존 자료를 참고해 초안을 작성한 후 자가검증 과정을 거쳐 내용을 수정·보완하는 양상을 보였다.
무하유 신동호 대표는 “GPT킬러는 단순히 AI 사용을 적발하는 도구가 아니라 학생들이 스스로 사고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키우도록 돕는 교육적 솔루션”이라며 “AI 사용을 무조건 금지하기보다는 AI의 도움을 받은 부분과 학생의 고유한 기여를 명시하게 하는 출처 기반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무하유, 텍스트·이미지·AI 생성 콘텐츠 검증 기술 KTL 인증 획득
- 무하유, 공공지원·장학금 서류검증 자동화 '카피킬러 자격검증' 출시
- 무하유 '카피킬러', 문서 내 표·이미지 표절검사 기능 출시...논문·보고서 신뢰성 강화
- 무하유, 몬스터 AI 면접에 구술 평가 기능 추가...채용 효율성과 공정성 강화
- AI 서류평가로 금융권 채용 효율화...‘프리즘’, 76개社 모의면접 도입
- [Success Story] 글로벌 시장 맞춤형 인재 검증, 토니모리가 선택한 ‘무하유 몬스터’
- GPT-5 탐지 강화된 ‘GPT킬러’, 교육·채용 문서 신뢰도 높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