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서비스 중단으로 많은 사용자가 불편을 겪고 있는 가운데 업친 데 덮친 격으로 이를 악용한 사이버 공격이 진행되고 있어 여러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지난 15일 발생한 에스케이씨앤씨(SK C&C)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카카오 서비스 장애 발생과 관련하여, 이를 악용한 해킹메일과 문자결제사기(스미싱) 문자유포 등 사이버 공격에 대한 사용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카카오에서 배포하는 카카오톡 설치파일(KakaoTalkUpdate.zip 등)로 위장해 악성프로그램 설치를 유도하는 해킹메일을 확인하여 해당 유포 사이트를 긴급 차단했다. 또한, 장애 관련 문자메시지(SMS)로 사기(피싱)사이트에 회원들어가기(로그인)를 유도하여 사용자 계정정보(아이디/비밀번호 등)를 탈취하는 사이버 공격 가능성도 높은 상황이다.

카카오 서비스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개인용 컴퓨터와 스마트폰 보안을 강화하고 해킹메일을 열람하거나, 문자결제사기(스미싱) 문자를 클릭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악성코드 감염 등 피해가 발생했다면 한국인터넷진흥원 보호나라 누리집(www.boho.or.kr)로 즉시 신고하고 ‘내피시(PC)돌보미’ 서비스를 통해 필요한 조치를 지원 받을 수 있다.
해킹메일, 문자결제사기(스미싱) 문자 예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조치를 취하도록 권고되고 있다.
① 해킹메일 예방 방법
- 송신자 주소를 정확히 확인하고 모르는 전자우편 및 첨부파일은 열람 금지
- 전자우편 첨부 파일 중 출처가 불분명한 파일 내려받기 자제
- 전자우편 내부 클릭을 유도하는 링크는 일단 의심하고 연결된 사이트 주소 정상 사이트 여부를 반드시 확인
② 문자결제사기(스미싱) 문자 예방 방법
- 문자 수신 시 출처가 불분명한 사이트 주소는 클릭을 자제하고 바로 삭제
- 휴대폰번호, 아이디, 비밀번호 등 개인정보는 신뢰된 사이트에만 입력하고 인증번호의 경우 모바일 결제로 연계될 수 있으므로 한 번 더 확인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카카오 서비스 장애 사고와 관련하여 카카오를 사칭한 해킹메일, 문자결제사기(스미싱)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악성프로그램 유포사이트를 신속하게 탐지하여 차단 중이며, 집중 점검(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유사시 사고 대응을 위한 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관련기사
- 카카오 서비스 중단... 일상의 중단으로 이어져
- 안랩, IT 환경 넘어 OT 보안 시장 겨냥한 보안 솔루션 선보인다
- 지니언스, 보안기능확인서 획득으로 정부, 공공기관 EDR 시장 적극 공략 나선다
- 컴볼트, 랜섬웨어 대응 위한 데이터 보안 서비스 ‘메탈릭 쓰렛와이즈’ 출시
- 국내 정보보호산업 매출 13.4% 증가, 코로나19 악재에도 고속 성장 유지
- 포티넷, AI 기반 비정상 네트워크 행위 탐지·대응 솔루션 ’FortiNDR’ 발표
- 와이퍼 악성코드와 IoT 봇넷 위협이 주류...제조업과 에너지 분야가 위험에 가장 많이 노출
- 2023년 전세계 랜섬웨어 피해액 300억 달러 넘어설 것
- 맨디언트, 이스라엘을 겨냥한 이란 공격그룹 'UNC3890' 보고서 발표
- 윈도우 불법 사용자 노린 '원격 제어·채굴 악성코드' 유포 주의보
- AI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이 쉬워진다!
- AI·데이터 기반 ‘23년도 "디지털 공공서비스 혁신 과제(프로젝트)" 사업 공모 실시
- 국제 표준화되는 한국형 SaaS 품질 측정
- ISMS 인증으로 더 안전하게 사용하는 채용관리 솔루션 '그리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