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 알렉사, 구글 어시스턴트 등이 일상생활의 보조 도구가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활용하고 있다. 이제 이러한 기능이 비즈니스에 접목되어 디지털 비서 등으로 업무 효율을 돕는 협업도구가 되고 있다. 여기에 더해 최근 주목받고 있는 챗 GPT 가 결합해 더욱 진화하고 있다.
대화형 AI 아바타 제작 기업 코드베이비(CodeBaby)가 Chat GPT(Chat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이하 챗 GPT)를 자사의 대화형 AI 아바타(CAI Avatars, 이하 CAIA)와 통합한다고 밝혔다.

그간 CAIA가 제공했던 디지털 경험은 이제 챗 GPT와 결합해 교육 및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더욱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게 됐다. 챗 GPT는 대화 방식으로 대화를 최적화하는 새로운 유형의 언어 모델이다.
코드베이비는 빠른 응답과 디지털 휴먼을 미세 조정하여 사람들과 대화하는 것을 모방하는 대화형 기능을 만들었다. 여기에 경험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챗 GPT 를 추가했다. 코드베이는 교육 환경 뿐만 아니라 기업 교육 및 고객 서비스에 대화형 AI 아바타를 적용했다.
코드베이비 CEO 노리에 다로가(Norrie Daroga)는 “기술과 인간의 상호작용이 끊김 없는 경험이 되는 것을 보는 것은 항상 평생의 일이었다. 우리의 소프트웨어와 플랫폼에 이 기능을 추가하면 차세대 디지털 진화와 대화형 경험을 누구에게나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배성철 기자
epsilondelta@gttkorea.com
관련기사
- 챗GPT 기반 업무용 AI 솔루션 공개…업무 생산성↑
- 협업툴도 GPT-3.5로 고도화…'마이크로소프트 팀즈 프리미엄' 공개
- 클라우데라가 전망하는 '2023년 4대 주요 기술'
- 챗GPT 급부상으로 챗봇용 데이터 수요↑
- MS, 초거대 언어 모델 인프라 지원…'애저 오픈AI 서비스' 공식 출시
- [강승우의 머신러닝 이야기] 진짜보다 진짜같은 가짜 ‘딥페이크’
- 챗봇 개발 서비스에 ‘GPT’적용…사람 같은 챗봇 만든다
- MS, '빙'에 대형언어모델 프로메테우스 도입…웹 브라우저 활용 극대화
- 콘텐츠 무결성 유지하는 생성AI 텍스트 감지 소프트웨어
- [기고] 챗GPT, 침체된 반도체 칩에 새로운 기회일까?
- 챗GPT의 미래는 어떨까?
- 챗GPT 등 AI 콘텐츠 생성도구 활용 시 알아야 할 3가지
- 클라우드·NLP 성장으로 비상하는 대화형 AI, 2030년 311억4000만 달러 전망
- 이스트소프트, AI 휴먼 활용한 스마트 경로당 사업 추진
- 이스트소프트-한국투자증권, AI 애널리스트 기능과 성능 개선
- 이스트소프트-게티이미지, AI 휴먼 이미지 판매 협약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