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프라이즈 분석 및 모바일 소프트웨어 기업인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코리아(이하 MSTR)는 오늘, 영국의 유통 기업인 ‘세인즈버리스(Sainsbury’s)’에 자사의 분석 플랫폼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세인즈버리스는 글로벌 팬데믹 기간, 급격히 수요가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공급망 문제에 직면했다. 또한, 빠르게 현대화된 소매 시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쇼핑 경험에 대한 고객들의 변화하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통합 관리 전략을 수립했다. 그러나 수십 개의 분산 시스템과 수백 개의 분리된 분석 솔루션을 통해 매우 다양한 브랜드를 관리하면서 결과에 대한 정확성과 일관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인즈버리스는 전사적인 데이터 패브릭을 위한 통합된 데이터와 분석 전략을 세우고 클라우드 기반의 스노우플레이크(Snowflake)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구성된 데이터를 분석 보고서로 배포하고자 마이크로스트레티지 분석 플랫폼을 도입했다. 세인즈버리스는 매장 직원부터 경영진까지 모든 부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30개 이상의 맞춤형 분석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했으며, 마이크로스트레티지 클라우드(MicroStrategy Cloud) 분석을 활용해 현장 담당자들에게 필요한 분석 애플리케이션을 단 2주만에 전국 2400개 매장에 배포했다.
현재, 1400개 이상의 매장에서 일하는 1만 2000명 이상의 직원들이 이 분석 앱을 활용해 운영을 간소화하고, 성과 지표를 관리하며, 고객 경험을 최적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 분석 앱은 수요에 따라 매장 직원을 재배치하고, 방문객 트래픽을 기반으로 매장의 오픈 시간과 폐점 시간을 유동적으로 조정하며, 공급망 체인 앱을 통해 급격히 증가하는 수요의 변화를 실시간 모니터링함으로써 세인즈버리스의 공급망 관리를 최적화하고, 고객들에게 원활한 쇼핑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제품, 매출, 비즈니스 계층 데이터를 활용해 세인즈버리스의 브랜드와 제3자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분석하고, 지역별, 전체 제품 가격 전략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이 앱은 매주 15만 건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세인즈버리스의 데이터 시각화 총괄 스티븐 헨슨-티어스(Steven Henson-Tyers)는 "소매업은 중복되는 수십 개의 기능, 시스템과 프로세스로 이뤄진 매우 복잡한 업종이며, 때로는 더 많은 기술도 사용된다. 마이크로스트레티지를 통해 우리는 일관된 분석 정보를 모든 동료와 관리자에게 제공해 원활히 활용할 수 있게끔 지원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신기술로 급성장하는 엔터프라이즈 AI, 2027년 582억 5000만 달러 전망
- “‘원 마이크로스트레티지’전략으로 올해 15% 성장하겠다”
- 비즈니스 환경에서 데이터가 가진 힘, 데이터 기반 경영 방식 사례 통해 확인
- 적은 데이터로 고성능 데이터 모델을 구축할 수 있을까?
- 스노우플레이크, 데이터 실무를 위한 핸즈온 워크숍 성료
- 애저, 팀즈, M365에서 마이크로스트레티지 분석 솔루션 활용 길 열려
- 데이터 분석 위한 개방형 통합 플랫폼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원'
- ‘데이터 스토리텔링’ 성장률 233%로 비상, 왜?
- 의사결정 90% 가속하는 생성AI 기반 산업용 캔버스 플랫폼
- 알에스엔, AI 기반 지역 관광 니즈 분석 서비스 공급
- 데이터 협업과 개발자 환경 강화된 '스노우플레이크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공개
- 스노우플레이크, 데이터 클라우드 내 안전한 ‘생성AI’ 실행하는 스노우파크 컨테이너 서비스 출시
- [Success Story] 글로벌 식품 회사가 만드는 지속가능한 미래
-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애저 마켓플레이스에서 'MicroStrategy ONE' 제공
- 급부상하는 ‘SaaS 기반 SCM’, 공급망 관리 강화 필요 급증 원인
- 정확한 BI와 똑똑한 AI의 결합이 시장 판도 바꿀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