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어 인지검색 솔루션 기업 올거나이즈(대표 이창수)가 다우기술이 운영하는 올인원 업무 플랫폼 '다우오피스'에 기업용 AI 솔루션 '알리GPT'를 도입한다고 28일 밝혔다. 다우오피스는 5월 말까지 알리GPT에 대한 베타테스트를 진행하고, 이후 정식 서비스할 예정이다.

'다우기술'은 21년 6월에 올거나이즈의 AI 챗봇 '알리'를 도입했으며, 최근 올거나이즈가 알리에 GPT-3.5 API를 연동한 '알리GPT'를 출시함에 따라, 다우기술 역시 기존 알리에서 알리GPT로의 업그레이드를 결정했다.

업그레이드된 서비스는 기존 알리와 연동돼 있던 Q&A 약 2500건을 알리GPT에 업로드한 후, 알리GPT가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 종합해 답변하게 된다. 다우기술의 클라우드 공유형 고객사 약 9000곳에 서비스하고, 추후 설치/구축형 고객사 약 900곳이 추가될 예정이다. 

다우기술의 ‘다우오피스’는 메일, 전자결재와 같은 기본 업무 기능부터 ▲업종별로 필요한 기능을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20가지 업무 기능을 제공하는 ‘그룹웨어’ ▲회계관리 서비스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경리회계’ ▲임직원이 자유롭게 급여/인사 정보를 확인하고 직접 경비처리를 할 수 있는 ‘경영지원’까지 기업 내 협업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를 통합 제공한다.

다우오피스가 도입한 알리GPT는 알리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질문에 대한 정보를 종합해 자연스럽게 전달하는 챗GPT의 기반 언어 모델인 GPT-3.5 API를 연동했다. 2021년 이전 정보만 학습한 챗GPT와 달리, 알리GPT는 기업의 문서 및 매뉴얼, 최신 정보를 업로드하면, 해당 질문에 대한 답을 문서에서 찾고 요약해 답한다.

다우기술은 올거나이즈의 알리GPT를 도입해, 콘텐츠 기반의 비대면 고객지원 서비스로 확장해 나갈 방침이다. 알리GPT는 구글이나 공공기관 사이트 등 외부 사이트에서 추출한 정보도 답변에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우오피스 내 FAQ에 필요한 정보가 여러 곳에 흩어져 있어도 정보를 종합하고 논리적으로 답변한다. 또한 검색 범위를 내부+외부 문서, 내부 문서, 외부 문서 등으로 세분화해 설정할 수 있다.

최경철 다우기술 DO플랫폼 지원팀 대리는 "알리를 도입하여 현재 고객 질문 중 단순문의의 약 60% 이상을 챗봇으로 해결하고 있다. 업그레이드 된 알리GPT 도입으로 단순문의를 100% 처리하는 것이 목표이며,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추후에는 단순문의 뿐만 아니라 기술적인 문의까지 챗봇의 영향 범위를 확대하고 궁극적으로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창수 올거나이즈 대표는 "알리의 인지 검색 기능은 자연어 질문에 대한 답을 빠르게 찾아주는 것을 가속화했고, 최근 챗GPT API 연동으로 정보 요약과 종합이 더욱 원활해졌다"며, "챗GPT를 접목한 다양한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지만, 올거나이즈는 문서 검색의 정확도로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단순 시나리오 기반 챗봇이 아닌, AI 기반으로 업무를 자동화하는 차세대 B2B 태스크봇 알리GPT를 통해 많은 기업들이 업무 경험을 혁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