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정의 자동차(Software Defined Vehicle, 이하 SDV)'가 미래의 자동차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SDV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차량으로 이는 자동차의 가치가 하드웨어 기반의 기능적 도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의 사용자 경험으로 진화한 결과이다. 이에 각 자동차 기업들은 SDV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이 기아 EV9을 통해 본격적 SDV(Software Defined Vehicle) 시대을 열어가겠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4일(목) 그룹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기아 EV9에 적용된 SDV 기술을 소개하는 영상을 공개했다. EV9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에 기반한 기아의 두 번째 전동화 SUV다.

특히 고속도로 부분 자율주행(HDP·Highway Driving Pilot), 기아 커넥트 스토어(Kia Connect Store), 무선(OTA·Over-the-air)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 SDV로서의 우수한 상품성을 갖춰 신기술 기반의 혁신적인 경험을 원하는 고객의 기대를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그룹은 영상을 통해 선택적으로 필요한 기능을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방식으로 구매할 수 있는 EV9의 ‘FoD(Features on Demand)’ 서비스에 대해 소개했다.
EV9의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적용 범위는 기존 핵심 부품뿐만 아니라 주요 편의 기능까지 대폭 확대된다. 현대차그룹은 2021년 제네시스 GV60를 통해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처음 실시한 이후, 현재까지 6개 차종에서 약 25회에 걸쳐 상품성 개선, 캠페인 등을 무선 업데이트로 진행했다.
별도의 조작 없이 주차 중 3~10분 만에 진행된다는 장점 때문에 업데이트 배포 이후 한 달여 만에 평균 95%의 고객이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등 높은 참여율을 기록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SDV 전략에 따라 기능 집중형 아키텍처(Domain Centralized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차량 제어기를 4가지 기능 영역으로 각각 통합 중이다. 이 과정에서 제어기의 수가 크게 줄어, 차량 기능과 성능 업그레이드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마련했다.
EV9은 단일화된 제어 소프트웨어 시스템 버전을 갖춰, 향후 향후 현대차그룹이 제공하는 FoD 상품의 영역과 개수가 확대됐을 때,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술적 토대가 된다.
현대차그룹은 FoD 서비스를 그룹 최초로 기아 EV9에 적용하고, 이를 기아 커넥트 스토어를 통해 운영한다고 밝혔다.
EV9을 통해 제공되는 기아 커넥트 스토어 상품은 △원격 주차·출차 및 주차 보조를 지원하는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 2’ △디지털 패턴 라이팅 그릴에 5가지 그래픽으로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라이팅 패턴’ △차량에서 영상 및 고음질 음원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스트리밍 플러스’ 등이며 추후 더 많은 기능을 개발해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고객은 기아 커넥트 스토어 인터넷 홈페이지 또는 스마트폰 전용 애플리케이션 ‘마이 기아(My Kia)’ 등에서 원하는 기능을 필요한 기간 동안 적용할 수 있다.
특히 기아가 기아 커넥트 스토어를 선보이면서 가장 신경 쓴 부분은 바로 ‘고객 선택권 확대’다. 기간 제한 없는 평생 이용 방식을 중심으로 상품을 구성했으며, 리스/렌트/중고차 판매 등 고객의 다양한 상황에 따라 월간 또는 연간 단위로 이용할 수 있는 기간제 상품도 마련했다.
현대차그룹은 궁극적으로 고객이 개인화된 차량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FoD 서비스를 지속 발전시켜 나갈 방침이다.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된 사양 위주로 FoD 상품을 구성하고, 각자의 개성에 맞게 상품을 직접 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FoD 서비스 방향성에 맞춰 현대차그룹은 차량의 안전과 직결된 기능은 FoD 범위에 포함시키지 않을 계획이다. 또한 옵션 사양의 선택권을 고객에게 돌려주는 것이 핵심인 만큼, 사용 빈도가 높은 기본 편의 기능 역시 FoD 서비스로 제공할 계획은 없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재규어 랜드로버 차세대 전기차가 선택한 차량용 소프트웨어는?
- 차량 소프트웨어 개발자, '양성과 채용' 직접 챙기는 현대오토에버
-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차 위해 Qt그룹과 GM이 손 잡는다
- 향후 5년을 주도할 자동차 기술 5대 트렌드
- [CES 2023] 메르세데스 벤츠, 엔비디아 옴니버스로 기반 메타버스로 차세대 공장 구현
- 일렉트로비트-에어비퀴티, 모빌리티 산업용 OTA 솔루션 공개
- 볼보 EX90 플래그십 전기 SUV, 엔비디아 오린을 두뇌로 탑재
- 볼보 '폴스타 3'가 엔비디아 드라이브 탑재한 첫 모델
- 차세대 중앙 집중식 차량용 컴퓨터로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구현
- 자동차 업계,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차 시대 준비중
-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솔루션 기업 에이펙스에이아이 한국 지사 설립
- 자동차·제조 산업 부품수명 연장시키는 ‘내피로성 소재’
- 현대오토에버, SDV 대응 체계 강화 위한 기술 교류 나선다
- [기고] 첨단 로봇 공학 및 자율주행차를 통한 비즈니스 운영 재정의
- 빅원, NXP-인벤텍과의 협업 통한 SDV용 통합 사이버 보안 솔루션 발표
- 1분기 국내 스마트폰 '394만대 출하, 전년대비 15.6% 감소'
- 메르세데스-벤츠에 들어가는 차세대 SDV 시스템 핵심 'Q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