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기업들이 멀티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도입하면서, 기업의 데이터는 여러 퍼블릭 클라우드 제공업체로 분산되고 있다. 더구나 기업은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분석, 스트리밍 등에서 파생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웨어하우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객체 스토리지 등 다양한 스토리지 시스템으로 점점 더 분할 관리하는 추세다.

이런 데이터 트렌드에 따라 고객들은 개방형 멀티 클라우드 데이터 레이크로 눈을 돌리고 있다. 그러나 멀티 클라우드 데이터 레이크는 데이터 사일로, 데이터 복제, 파편화된 거버넌스, 도구의 복잡성, 비용 증가와 같은 여러 문제를 안고 있다.

구글 클라우드는 이러한 고객의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AWS 서울 리전에 빅쿼리 옴니(BigQuery Omni)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빅쿼리 옴니는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 고객의 데이터 분석과 거버넌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기업의 데이터 사일로를 허물고, 클라우드간 원활한 데이터 액세스를 지원해, 한국에 기반을 둔 멀티 클라우드 고객이나 한국에서 고객을 확보하려는 기업들에게 이상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번 AWS 서울 리전 도입으로 한국은 미국 이외에 가장 먼저 빅쿼리 옴니를 지원하는 국가가 됐다. 국내 기업 고객들은 AWS 서울 리전에 저장된 데이터에서 빅쿼리 인터페이스를 활용해 쉽고 간편하게 데이터를 분석하고 통합된 멀티 클라우드 거버넌스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

특히 AWS 서울 리전에 저장된 데이터를 해외 다른 리전으로 이전하기 않고도 클라우드 간 데이터 분석이 가능해 금융 서비스나 헬스케어와 같은 규제 산업 고객은 데이터 관련 컴플라이언스 준수를 강화하면서도 더욱 쉽고 간편하게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빅쿼리 옴니는 유연한  빅쿼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그대로 사용하는 멀티 클라우드 분석 솔루션으로, 구글 클라우드, AWS, 애저(Azure) 환경에서 비용 효율적으로 데이터에 액세스하고 안전하게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따라서 기업은 표준 SQL이나 빅쿼리 API를 사용해 데이터 사일로를 해소하고 단일 창에서 중요한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소스 전반에서 클라우드 간 분석을 수행하고 빅레이크(BigLake)나 데이터플렉스(Dataplex)를 통해 통합된 멀티 클라우드 거버넌스를 확보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이미 LG CNS를 비롯한 여러 고객들이 이미 빅쿼리 옴니를 사용해 데이터 사일로를 허물고 클라우드 제공업체 간 원활한 데이터 액세스를 확보하고 있다.

신익준 LG CNS 구글 클라우드 비즈니스 담당 팀장은 “빅쿼리 옴니를 테스트해 본 결과, AWS 데이터를 빅쿼리로 바로 가져올 수 있는 기능이 정말 만족스러웠다. 새로운 클라우드에 온보딩하지 않고도 여러 조직과의 데이터 공유를 관리할 수 있는 빅쿼리 옴니의 잠재력에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