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밀도 컴퓨팅에 대한 수요 증가, 모듈식 및 확장 가능한 솔루션, 고급 관리 및 모니터링 기능으로 전환으로 고성능 데이터 센터 요구가 높아지며 데이터 센터 랙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내부 및 외부 IT 서비스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한 추가 데이터 스토리지 용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최근 데이터 센터 랙에 대한 아이디어가 인기를 얻고 있다. 데이터 센터 랙은 비즈니스 연속성을 높이고 현재 데이터 센터 용량을 확장하기 위해 수요가 늘고 있다. 자체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는 데 상당한 비용을 지출하는 대신 많은 기업, 특히 중소기업은 데이터 센터 랙 기술을 선호한다.
시장 조사기관 AMR(Allied Market Research)이 발표한 ‘글로벌 데이터센터 랙 시장 보고서 2021-2031’에 따르면 글로벌 데이터 센터 랙 시장 규모는 2021년 39억 달러에서 연평균 9.7% 성장해 2031년 95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데이터의 기하급수적인 증가와 더 빠른 처리 속도에 대한 요구로 인해 데이터 센터에서 고밀도 컴퓨팅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컴팩트한 공간에 더 많은 수의 서버 및 네트워킹 장비를 수용할 수 있는 데이터 센터 랙의 채택을 주도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설치 공간을 줄인다.
데이터 센터는 진화하는 비즈니스 요구에 적응하기 위해 확장 가능한 모듈식 랙 솔루션으로 이동하고 있다. 모듈식 랙을 사용하면 설치, 유지 관리 및 업그레이드가 더 쉬워져 수요에 따라 유연하게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이러한 솔루션을 통해 데이터 센터 운영자는 리소스 활용을 최적화하고 인프라를 변화하는 요구 사항에 맞출 수 있다.
에너지 효율성과 냉각은 데이터 센터 운영에서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되었다. 전력 소비 및 냉각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효율적인 공기 흐름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에너지 소비를 줄이며 효과적인 냉각 전략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센터 랙 설계에 대한 강조가 증가하고 있다. 최적화된 공기 흐름 패턴 및 지능형 냉각 시스템과 같은 랙 설계의 혁신이 이러한 추세를 주도하고 있다.
데이터 센터 운영자는 랙 인프라에 대한 향상된 관리 및 모니터링 기능을 찾고 있다. 여기에는 원격 모니터링, 지능형 배전, 환경 센서 및 자산 추적과 같은 기능이 포함된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더 나은 리소스 할당, 사전 예방적 유지 관리, 랙 수준 성능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운영 효율성 및 가동 시간을 개선할 수 있다.
글로벌 데이터 센터 랙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들은 델 테크놀로지스, 블랙박스(Black Box), 이튼(Eaton), 그레이트 레이크 데이터 랙 앤 캐비닛(Great Lakes Data Racks & Cabinets), 오라클, 슈나이더 일렉트릭, HPE, 후지츠, 리털(Rittal ), KG, 삼성전자 등이다.
관련기사
- 통합 인프라 관리로 효율성·비용절감 효과 높은 HCI 급성장
- VMware와 반도체 기업들, '컨피덴셜 컴퓨팅' 대중화 동맹
- 에퀴닉스, 트래블핑과 글로벌 커넥티드 카 서비스의 근간 구현
- 유연하고 탄력적이며 경제적인 데이터센터 구현하는 ‘HCI’
- 기업과 MSP 보안 강화하는 통합 보안 솔루션 '아크로니스 EDR'
- SDDC 기반 데이터센터 전환 통해 비즈니스 연속성∙안정성 확보
- 'IBM z16과 리눅스원 4 단일 프레임'으로 데이터센터 유연성·지속가능성·보안 강화
- AI 기술, 지식 관리와 코드 생성, 마케팅 자동화에 주로 활용
- 디지털 리얼티, 최초의 엔비디아 DGX H100 지원 데이터 센터 발표
- 기업 75% 이상 “데이터 인프라 부족”…원인은 데이터 보안·지속 가능성 과제 급증
- 급변의 시대 DX 성공 최적 HCI 솔루션 '델 파워플렉스'
- AI와 빅데이터 처리엔 '고밀도 코로케이션 서비스'가 필수
- "기업의 혁신은 ‘구성원·프로세스·테크놀로지’ 개선부터"
- 아태지역 데이터센터, 평균 크기 급격한 증가세 보여
- NHN클라우드, 델 파워엣지 서버로 광주 AI 데이터센터 구축
- 삼성전자, 세계 최초·최대 32Gb DDR5 D램 개발
- 코로케이션·관리형 호스팅 서비스, "운영비 절감 기업 채택 증가로 성장세"
-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한화오션, 선박 사이버 복원력 대응체계 구축 나선다
- HPE, 엔비디아와 엔터프라이즈급 풀스택 생성AI 솔루션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