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컨버전스 인프라(HCI)는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킹을 통합한 인프라이다. 기존의 데이터센터 인프라는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킹이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있어 관리가 복잡하고 비용 부담이 크다. HCI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킹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관리를 간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최근 기업들 사이에서 워크로드의 배포를 간소화하고 인프라 관리를 용이하게 하며 인프라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는 잠재력을 끌어내기 위해 HCI 도입에 관심이 높다. 이에 시장 조사기관 AMR의 '글로벌 HCI 시장 보고서 2018-2026'에 따르면 HCI 시장 규모는 2018년 38억 4천만 달러였으며, 2019년부터 2026년까지 연평균 30.7% 성장하여 2026년에는 331억 6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높은 데이터 보호 및 재해복구, 비용절감 효과 커
HCI 아키텍처는 종량제 비용 모델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시장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점진적인 확장 기능을 갖추고 있다. 3계층 IT 인프라에 구축되어 있는 비즈니스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은 통합 스택 시스템, 통합 인프라 시스템 및 통합 참조 아키텍처를 제공해 하이퍼 통합 인프라로 전환된다.
기업들의 데이터 보호 및 재해 복구에 대한 요구 증가와 자본 지출(CAPEX) 및 운영 지출(OPEX) 감소는 HCI 시장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주요 인프라 공급업체가 백업 전략 또는 데이터 재해 복구 옵션 또는 온프레미스 인프라의 대안으로 하이브리드 및 다중 클라우드 배포를 채택하고 있으며, 데이터센터 인프라에 대한 투자 증가도 시장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데이터 센터의 성장은 데이터 사일로를 세분화하여 스토리지, 네트워크 및 컴퓨팅 스택을 단순하고 유연하게 관리해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센터를 중단시키는 아키텍처로 인해 HCI의 높은 채택률이 예상된다. 따라서 HCI와 함께 구축되고 통합된 데이터 보호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 센터 업계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이는 시장의 성장을 뒷받침할 것으로 보인다.
모든 조직에서 비용이 많이 드는 분야가 데이터 센터 인프라이다. HCI는 범용 하드웨어를 단순한 운영 모델과 협업하거나 통합하여 인프라 비용을 절감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예측 기간 동안 전 세계 HCI 시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상용 하드웨어는 HCI의 하드웨어에 구애받지 않는 접근 방식으로 인해 애플리케이션을 가상 머신 또는 컨테이너로 호스팅하는 데도 사용된다.
HCI, 금융권에서 인기
업종별로는 금융 산업이 2018년 매출액 기준으로 전 세계 HCI 시장을 지배했으며, 예측 기간에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 부문은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디지털화가 증가함에 따라 이 분야는 훌륭한 디지털 경험을 제공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강력한 디지털 전환 전략의 확산에는 인프라 민첩성을 높이기 위한 HCI가 포함된다.
또한 금융 회사는 분산 IT 및 원격 사무소/지사, 가상 데스크톱 구축, 비즈니스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 및 재해 복구와 같은 전략적 이니셔티브에 대한 민첩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HCI를 선호하고 있다.
HCI 시장은 북미 지역에서 매출이 가장 높다. 성능, 가용성 또는 안정성을 저하시킬 필요 없이 기존 데이터 센터에 클라우드와 같은 경제성을 제공하는 혁신적인 기술로의 전환은 이 지역의 HCI 시장 채택의 주요 요인이다. 이를 통해 HCI 채택 업체는 향상된 운영 효율성, 확장성 및 신속한 구현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HCI 시장은 구성 요소별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분류된다. 애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원격 사무소 또는 지사, VDI(가상화 데스크톱 인프라), 데이터 센터 통합, 백업 복구 또는 재해 복구, 중요 애플리케이션 가상화 등으로 나뉜다.
글로벌 HCI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으로는 델 테크놀로지스, 뉴타닉스, IBM, VMware, 퀘스트소프트웨어, 스마트엑스, 시스코, 화웨이, 마이크로소프트, 넷앱, Pivot3, 스케일 컴퓨팅(Scale Computing) 등이 있다.
관련기사
- 유연하고 탄력적이며 경제적인 데이터센터 구현하는 ‘HCI’
- SDDC 기반 데이터센터 전환 통해 비즈니스 연속성∙안정성 확보
- VMware, 브이스피어·브이샌 GS인증 획득으로 공공 시장 공략 나선다
- 자동화로 효율성 높고 향상된 거버넌스 구현하는 인프라옵스
- “최종 사용자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는 IT 인프라 솔루션 기업의 모습 보여줄 것”
- 애플리케이션 개발 효율 높아진 몽고DB 아틀라스, 4대 신기능은?
- “국내 AI 및 클라우드 시장 출사표 낸 지코어, 자신감 충만”
- 의사결정 90% 가속하는 생성AI 기반 산업용 캔버스 플랫폼
- 고객 환경 개선하려면 "직원환경·클라우드·AI에 투자"
- 양자컴퓨팅과 AI의 결합으로 자연어 기반의 화학·재료과학 연구 이뤄질 것
- IT 팀에게 부담 큰 컴플라이언스 준수, 해결책은?
- 네트워크 인프라와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시너지 효과
- 고밀도 컴퓨팅 수요 증가로 데이터 센터 랙, 꾸준한 성장세
- 탈레스-구글 클라우드, 생성AI로 데이터 검색과 보호 자동화 강화
- 경제성과 지속가능성 위한 소프트웨어 정의 인프라스트럭처 ‘HCI’
- "기업의 혁신은 ‘구성원·프로세스·테크놀로지’ 개선부터"
- 커넥트웨이브, 스마트엑스 HCI 솔루션 도입으로 운영효율 강화
- 윈도우·맥 환경 지원 '토드 포 오라클 17.0' 출시
- 한국화웨이, ICT 인재 양성 프로그램 시상식 개최
- [기고] 2024년에 기대되는 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 아키텍처
- 기업 80% ‘IT 현대화’ 투자 계획...‘하이브리드 IT 환경’ 선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