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태평양 전역의 데이터센터의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운영자들은 지속적인 디지털화와 인공지능의 광범위한 채택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함에 따라 새로운 시장 확장을 검토하고 있다.
글로벌 부동산 컨설팅 업체인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가 최근 ‘아시아 태평양 데이터센터 업데이트’ 보고서를 발표하고 베이징, 상하이, 싱가포르, 시드니, 도쿄 등 5개 도시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운영되는 데이터센터 용량의 62%를 차지하고 있고, 시드니와 도쿄도 상하이와 베이징과 함께 앞으로 1~2년 안에 운영 용량이 1기가와트(GW)를 초과하는 도시로 합류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신흥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은 모두 앞으로 5~7년 동안 운영 용량을 두 배 이상 늘릴 계획이다.
이번 보고서는 개별 데이터센터의 규모도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상위 5개 시장에서 건설 중인 데이터센터의 평균 크기는 20MW로, 현재 운영되고 있는 데이터센터의 평균 크기 15MW보다 32% 증가했다. 전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살펴보면 건설 중인 데이터센터의 평균 크기(14.5MW)는 운영 중인 데이터센터의 평균 크기(9.2MW)보다 57% 더 커 이런 경향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아시아 태평양 데이터센터 업데이트 보고서는 29개 데이터센터 도시를 5~7년 동안 예상되는 진화를 기반으로 4개 범주(Emerging, Developing, Established, Powerhouse)로 분류하는 시장 성숙도 지수를 포함하고 있다.
성숙도 지수를 적용한 예로, 뭄바이(현재 462MW 가동 중)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높은 342MW의 파이프라인이 건설 중인 점 등을 고려해 Powerhouse 범주에서 시드니(현재 724MW 가동 중)보다 앞선다. 베이징, 상하이, 도쿄도 Powerhouse 범주에 속하며, 이 5개 시장은 각각 앞으로 5~7년 동안 운영 용량 2GW를 초과하는 개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존 프리처드(John Pritchard)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코리아 이사는 “한국은 하이퍼 스케일 데이터센터 투자에서 매우 경쟁력 있는 입지이다. 하이퍼 스케일 데이터센터는 대규모 기술 집약 단지로, 특히 인공지능 시대가 도래하면서 데이터 처리와 저장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며 “서울은 2022년 말 이후 23MW의 신규 공급이 추가되고 꾸준히 강력한 개발 파이프라인이 구축되면서 한국 데이터센터 시장의 85%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계속되는 수요 덕분에 서울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싱가포르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공실률을 기록했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 정부는 데이터 센터의 서울 지역 집중을 완화하기 위해 관련 정책을 꾸준히 개발하고 있다. 정부는 전기사업법 시행령을 개정해 한전이 수도권 데이터 센터에 대한 전력 공급 요청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비수도권에 구축하는 데이터센터에 대해서는 전기 시설 부담금 감면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해 지방 분산을 유도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고밀도 컴퓨팅 수요 증가로 데이터 센터 랙, 꾸준한 성장세
- 에퀴닉스, 트래블핑과 글로벌 커넥티드 카 서비스의 근간 구현
- 에퀴닉스, 아태지역 디지털 인프라 플랫폼 확장 나선다
- 에퀴닉스, 2030년까지 글로벌 기후 중립 위해 미래 우선주의 전략 추진
- 이호스트ICT, GPU 클라우드 플랫폼 ‘빅뱅 클라우드’ 베타 출시
- 버티브, 에너지와 용수 효율성 향상에서 태양광 발전소 설립 등 ESG 활동 강화
- 사용 않는 계정 삭제로,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 줄여야
- 24시간 가동되는 데이터센터를 위한 에너지 절약과 온·습도 유지 솔루션
- [SPOTLIGHT] 상호연결 서비스 중심 데이터센터 시장의 맹주 ‘에퀴닉스’
- 데이터센터 소비전력 낮추는 '네트워크 인터커넥트' 솔루션
- 스마트 데이터 센터를 위한 10대 트렌드
- 코로케이션·관리형 호스팅 서비스, "운영비 절감 기업 채택 증가로 성장세"
- AI로 하는 스마트한 데이터센터 관리
- 제스프로, 리퀴드와 손잡고 국내 CDI 시장 개척 나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