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드론은 센서와 카메라를 사용하여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데이터를 공급한다. 이 데이터는 GPS, 라이다(LiDAR), 이미지 인식 기술, AI 알고리듬과 결합해 사람의 통제 없이 자율적으로 길을 찾는다.
하지만 이제는 자율주행 드론에 GPS나 위성, 라이다 혹은 이미지 인식 기술을 적용할 필요가 없는 특허 기술이 등장했다.

스파크 AI(SPARC AI)가 특허를 보유한 이 알고리듬은 자율주행 드론의 내부 온보드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드론 비행 경로의 위치 포인트(Px)를 기록하고, 드론은 이 위치 포인트를 사용하여 기지로 돌아가는 최단 경로를 찾거나 스파크 역방향 조회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모든 위치 포인트로 직접 비행할 수 있다.
또한 드론은 스파크 가상 삼각 측량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위치 포인트나 기타 관심 포인트까지의 정확한 비행 경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자율주행 드론은 운송, 건설, 물류, 감시와 검사, 수색과 구조, 광업, 군사, 농업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정진옥 기자
okjung@gttkorea.com
관련기사
- 주머니 크기 비행 카메라, 안전하고 콘트롤러나 앱이 필요없네!
- DNA+드론 플랫폼, 데이터 획득부터 실시간 AI 분석까지
- 비접촉식 탐지 센서 탑재한 국산 폭발물 및 지뢰제거 로봇, 해외서 인기
- 우왕좌왕 기준없던 드론통신, 'ETRI' 국제표준으로 정돈된다
- 영공 인식 기능 강화된 드론, 긴급 상황 현장에 적시 대응
- AI 기반 휴대성·유용성·비행성 갖춘 ‘호버 카메라’로 색다른 촬영 즐기기
- 3D 모니터로 전 세계를 지도화
- 최첨단 기술 총체 “디지털 전장” 시장, 군 현대화로 성장가속
- UN 총회 보안성 높인 불법 드론 탐지 솔루션
- 인간 도움 없이 돌담 쌓는 자율주행 로봇 굴착기
- AI 적용 드론, 재해 현장 구조 작업에 활약
- 4K UHD·최대 30mph 속도 '블랙 팔콘 드론' 인기몰이
- 여러 드론의 비디오와 데이터를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통합
- 메이사, 기재부 현장 방문 기업으로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