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플레어가 아태지역의 사이버 보안 현황을 집중 조명한 ‘미래를 위한 보안: 아태지역 사이버 보안 준비성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한국을 포함한 아태지역의 사이버 보안 준비성에 대한 최신 데이터를 공유하며, 조직들이 갈수록 증가하는 사이버 보안 사고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대비 수준은 어느 정도 인지, 어떠한 결과를 경험하고 있는지 등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응답자의 61%가 지난 1년간 사이버 보안 사고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36%는 10건 이상의 사이버 보안 사고를 경험했다고 답했으며, 주로 웹 공격(50%)과 DDoS 공격(50%), 피싱(46%), 내부자 위협과 인증정보 탈취(38%)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사이버 보안 사고가 가장 많았던 분야는 게임, 여행, 관광과 숙박업, 교육 분야였다.

이처럼 국내에서 사이버 보안 사고가 빈번하게 발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전 준비성은 다소 미흡한 수준이다. 한국 응답자의 약 20%만이 평소 사이버 보안에 충분히 대비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실제로 준비성 부족으로 인해 수백만 달러의 비용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72%가 지난 1년간 최소 100만 달러 이상의 재정적 영향을 받았으며, 대기업의 경우 무려 46%가 최소 200만 달러 이상의 재정적 영향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사이버 보안 사고로 인해 영향을 받은 분야는 재무제표뿐만이 아니었는데, 응답자들은 금전적인 손실 외에도 직원 데이터 손실(59%), 고객과 클라이언트 데이터 손실(47%), 독점 지식 손실(44%) 등에 영향을 받았다고 보고했다.
사이버 보안 대비 측면에서는 한국 응답자의 52%가 조직 전체 IT 예산의 11~20%를 사이버 보안에 할당하고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사이버 보안 대비와 관련해 조직이 직면한 가장 큰 과제로는 61%가 자금 부족을 꼽았으며, 인재 부족이 48%로 그 뒤를 이었다. 전체 IT 예산의 21% 이상을 사이버 보안에 투자하는 산업은 에너지, 공공 서비스와 천연자원 산업(38%), 여행, 관광과 숙박업(32%), 그리고 소매업(27%) 순이었다.
김도균 클라우드플레어 한국 지사장은 “많은 조직들이 복잡한 사이버 보안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지금, 단순히 관련 지출을 늘리거나 제품을 확장하는 것만으로는 최상의 결과를 얻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사이버 보안을 필수 전략 요소로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강력한 보안 문화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피싱, 언제 어디서나 당신을 노린다...가장 지배적인 인터넷 범죄
- 악성 봇 트래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방법
- 시험 부정행위 방지나 시위 대응 등 국가 주도 인터넷 셧다운 발생 빈번
- 정교·지능화하고 있는 HTTP DDoS...암호화폐 공격 600% 증가
-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 2030년 256억 달러 전망
- “보안에 과신하는 조직이 사이버 침해에 취약”
- 온프레미스·클라우드보다 ‘하이브리드’ 인프라가 우세
- 중견기업 골칫거리 ‘사이버 공격과 금융 위험’
- 클라우드플레어, 클라우드 이전으로 탄소배출량 최대 96% 절감
- “기업들, 거대 클라우드 기업으로부터 제어력 되찾기를 원해”
- 클라우드 기반 풀스택AI 개발 환경 '클라우드플레어 개발자 플랫폼'
- 클라우드플레어, 장치·에지·클라우드 전반에 걸친 AI 모델 구현 돕는다
- 올 3분기 급증한 DDOs 공격은 '대규모 볼류메트릭 HTTP/2'
- 호시탐탐 노리는 “테라 비트급 DDoS 공격 저지법”
- [2024년 전망] AI 기술격차가 기업의 생산성과 수익 판가름 할 것
- 연말연시 휴가를 노리는 '사이버 범죄 예방법'
- 환경 서비스 업계, DDoS 공격 급증
- 내부자 보안 사고의 56%는 ‘부주의’
- 클라우드플레어, LLM 남용과 공격 식별 ‘AI용 방화벽’ 출시
- ‘AI∙생성AI 때문에’ 데이터 보안 위협 증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