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진흥원(이하 KISA)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정보원, 국가보안기술연구소와 함께 ‘온라인 암호모듈 검증 관리 및 사전검증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암호모듈 검증 관리 서비스는 암호모듈 시험 신청부터 검증 완료까지 원스톱으로 시험 현황·이력 등을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암호모듈 시험·검증을 받고자 하는 기업이 회원가입과 승인을 거쳐 이용할 수 있다.

암호모듈 사전검증 서비스는 정식으로 암호모듈을 시험하기 전에 점검 차원에서 기업 스스로 테스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검증대상 암호알고리즘에 대한 구현 적합성, 운영환경에서 수집된 잡음원에 대한 엔트로피 평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암호모듈 시험·검증을 받고자 하는 기업뿐 아니라 암호 알고리즘과 난수성을 자체적으로 테스트하고자 하는 누구나 회원가입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KISA 권현오 디지털산업본부장은 “기존에는 오프라인으로 시험·관리해야 함에 따른 기간 소요가 있었으나, 디지털플랫폼정부의 국민 중심에 기반해 온라인으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암호모듈 개발·시험 기간이 단축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KISA는 민간 암호시장 활성화를 위해 제도적인 측면에서의 어려움을 뒷받침할 수 있는 역할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채환 기자
whaney@gttkorea.com
관련기사
- KISA, 민간 이용기관의 간편인증 도입 돕는다
- KISA, 차세대 보안 기술 신규 예산 255억 원 확보
- KISA, 재중 한국기업 대상 ‘찾아가는 개인정보보호 세미나’ 개최
- KISA, 랜섬웨어 피해 예방 돕는 '랜섬웨어 대응 가이드라인' 개정본 배포
- KISA, 정부 보고서 위장한 해킹메일 공격 방식 분석 결과 발표
- KISA-ICANN, 제7회 아·태지역 인터넷거버넌스 아카데미 개최
- KISA, 사이버 공격자의 전략·기술·과정 담은 프로파일링 보고서 공개
- KISA-루마니아 DNSC, 사이버위협 대응 협력
- KISA, 글로벌 개인정보 보호 컴플라이언스 웨비나 개최
- 2022년 국내 전자문서 산업 매출 10조 5062억 원 규모
- KISA, 랜섬웨어 '리시다' 피해 복구도구 배포
- KISA, 재난안전 분야 '비즈니스연속성경영시스템' 구축 강화
- 한국인터넷진흥원 인사
- KISA, 중국 내 대표처 설립하고 개인정보보호 적극 대응
- 한국인터넷진흥원 인사
- KISA-광역시·도, 아파트 사이버보안 안전성 강화 협력
- KISA, 유럽 보안 인증 최고 등급 획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