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인텔리전스 기업 S2W(에스투더블유)는 하나은행과 ‘다크웹 위협 정보 기반 생성형 AI를 활용한 사이버 보안 강화 협약’을 체결하고 다크웹상의 금융 관련 위협 정보를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기로 했다고 6일 밝혔다.
지난 9월 금융감독원이 IT와 보안 기업을 초대해 ‘테크파인더 쇼케이스’를 개최하는 등 금융권에서는 다크웹상의 정보유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랜섬웨어 감염, 고객의 금융 정보 유출, 피싱과 해킹 등에 대해 대응 강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다크웹에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정보 유출 피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잠재적인 사이버 금융 보안 위협에 대비하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S2W와 상호 협력키로 했다.
구체적으로 ▲금융보안 분야 생성AI 서비스 관련 정보 공유와 기술 교류 ▲다크웹 등 사이버 위협에 대한 가시성 확보 ▲위협 요소 탐지와 위험도 평가 ▲다크웹 데이터를 활용한 지능형 이상거래시스템(FDS) 고도화 등의 분야에서 긴밀하게 협력할 계획이다.
S2W는 KAIST 연구진과 자체 개발한 다크웹 전용 인공지능 언어모델 ‘다크버트’(DarkBERT)를 솔루션에 활용해 ▲금융관련 유출 정보/용어 식별 ▲’위협 스코어링’을 수행, 위협의 수준을 알려주고 ▲유출 계정, 카드 번호 등을 추출하여 위협 요소를 탐지한다.
솔루션 내 금융기업이 보유한 금융 자산을 식별해 위협을 예방할 수 있는 공격 표면관리 기능도 제공한다. 금융사는 어떤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해당 자산 중 공격자들이 관심 갖는 정보가 다크웹에 유출돼 있는지 매칭시켜 볼 수 있다.
업무 협약식에서 S2W 서상덕 대표는 “인공지능은 새로운 보안 위협인 동시에 생산적인 도구이다. 생성AI는 인공지능 모델의 악용 사례뿐 아니라 잘못된 정보 제공, 데이터 유출 등의 보안 위협을 내포하고 있다. 체계적인 금융보안 시스템과 사이버 위협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해, 고부가 가치의 금융 거래 환경을 제공하고자 양사가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다크웹 범죄 이력 5분 내 샅샅이 캐내는 전용 챗봇 'S2W 다크챗'
- S2W, 일본 위기관리 산업 전시회 RISCON 2023 참가
- S2W, 다크웹 대응 금융 보안 기술 공개
- 최신 사이버 공격 동향 및 공격표면 관리법
- 국내 개발 다크웹 전용 AI 언어모델에 쏟아지는 해외의 관심
- S2W, 일본 시장 대상 다크웹 AI 언어모델 '다크버트 웨비나' 성료
- 다크웹 전용 생성AI로 각종 범죄 예방 나선다 'S2W 다크버트'
- AI 기반 자동화 위협 모델링 프로세스, "실시간 협업·공격 표면 파악 쉽다"
- "국방 분야 '다크웹 위험' 선제 대응해야"
- 진짜 같은 가짜 앱 피하는 법
- '은행 사이버 보안' 시장, 2032년 2820억 달러 전망
- 금융권 임원 73%, “생성AI가 결국 자리를 잡을 것"
- 고객과 은행을 모두 이롭게 하는 AI
- S2W, 일본 사이버 위협 트렌드 웨비나 'WITH GLOBAL' 개최
- AI∙ML∙빅데이터 분석 기술로 강화되는 '다크웹 인텔리전스', 큰 폭 성장
- AI로 다크웹 계정 유출 탐지
- KB손해보험, ‘AI 명함 서비스’ 도입
- 발생 가능한 IT 문제 사전 예방해주는 ‘인텔리전스 솔루션’
- 금융권 겨냥한 새로운 사이버 위협
- 보이지 않는 위협까지 찾아내는 ‘다크웹 인텔리전스’
- 자비스앤빌런즈-S2W, 보안 강화·AI 신사업 발굴 협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