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IT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화두 중 하나는 바로 데이터다. 많은 기업들이 이를 잘 활용해야 한다는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이다. HPE는 바로 이런 데이터를 에지에서 클라우드까지, 그리고 이를 확장해 AI에 서도 잘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HPE가 9일 개최한 연례 플래그십 컨퍼런스 'HPE 디스커버 모어 서울 2023(HPE Discover More Seoul 2023)'에서 김영채 한국HPE 대표는 HPE가 그린레이크(GreenLake)가 에지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AI에서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통합된 경험을 제공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Modernize your business, Edge-to-cloud’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지난 6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HPE 디스커버 행사의 주요 발표 내용을 기반으로 지속가능성, AI,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었으며, 국내 고객과 관계 기업들에게 데이터 중심의 현대화와 혁신을 이끌어 나갈 최신 기술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이날 행사를 위해 방한한 모한 라자고팔란(Mohan Rajagopalan) HPE 에즈메랄 소프트웨어 총괄 겸 부사장은 "현재 기업들은 데이터를 의미있는 활용하고 있는 비율이 절반에 불과하다, 문제는 아직 기술이 데이터의 활용을 제대로 돕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그는 "HPE는 데이터 기반의 전환을 돕기 위해 대부분의 데이터가 생성되는 에지 영역에서부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그리고 AI 영역에서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모한 라자고팔란 부사장은 “AI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의 근간을 다지기 위해서는 글로벌 데이터 패브릭 기술과 데이터 분석 역량이 필요한데, HPE 에즈메랄 데이터 패브릭(HPE Ezmeral Data Fabric)과 HPE 에즈메랄 통합 애널리틱스(HPE Ezmeral Unified Analytics)가 바로 그 역할을 해줄 수 있다. 그리고 이런 AI 생명주기의 전반을 아우르는 솔루션을 HPE 그린레이크로 제공함으로써, HPE는 고객의 AI 활용 단계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HPE 그린레이크 에지 투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파트너 에코시스템에 이르기까지 사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개선 사항과 사례 발표 등이 이어졌다.
HPE 그린레이크 플랫폼(HPE GreenLake platform)은 고객과 파트너에게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을 더욱 간편하게 운영할 수 있는 통합 경험을 제공하고 클라우드 서비스에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한다. HPE 그린레이크 플랫폼을 통해 기업들은 단일 컨트롤 플레인에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자동화하고, 오케스트레이션하며 운영할 수 있다.
이에 더해 HPE는 HPE 그린레이크 플랫폼에 자사 옵스램프(OpsRamp)의 소프트웨어를 서비스형으로 새롭게 제공함으로써 또 한 번의 혁신을 꾀했다. HPE 그린레이크 플랫폼 고객들은 이를 활용해 단일 벤더 또는 멀티벤더, 멀티 클라우드 환경 전반에서 애셋과 애플리케이션을 자동화하고 풀스택 옵저버빌리티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기능들을 바탕으로 고객은 더욱 효율적으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 전반에 걸쳐 시스템을 자동화 및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지난 6월 프라이빗 클라우드 엔터프라이즈용 HPE 그린레이크(HPE GreenLake for Private Cloud Enterprise)가 출시된 이후, HPE는 고객에게 프라이빗 클라우드 포트폴리오를 더욱 확대해 고객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제공하며 모던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운영하는데 있어 간편하고, 유연하며 직관적인 경험을 선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HPE 그린레이크 프라이빗 클라우드 비즈니스 에디션(HPE GreenLake for Private Cloud Business Edition)이 이번에 프라이빗 클라우드 포트폴리오에 새롭게 추가됐다. 이 솔루션은 고객이 하이브리드 환경 전반에서 가상머신(VM)을 온디맨드로 확장해 사용할 수 있고 AI옵스(AIOps)를 활용해 더욱 간편하게 VM에서 인프라에 이르기까지 직접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관리할 수도 있다. 이제 고객들은 온프레미스, 에지, 퍼블릭클라우드 환경 전반에서 데이터를 저장, 보호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높은 수준의 데이터 가용성과 효율성도 함께 누릴 수 있다. 또한, 고객은 셀프 서비스를 유연하게 사용할 수도 있으며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과금형 지불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 엔터프라이즈용HPE 그린레이크(HPE GreenLake for Private Cloud Enterprise)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앱과 기존 앱을 대상으로 관리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수천 곳으로 분산된 IT 시설을 서로 연결해주는 기능을 추가했다. 이 솔루션은 레드햇 오픈시프트(Red Hat OpenShift)를 배포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될 예정이다. 프라이빗 클라우드 엔터프라이즈용 HPE 그린레이크는 신규 하이브리드 및 멀티클라우드 활용 기능도 제공하여 아마존웹서비스,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VM웨어 등을 이용해 워크로드를 셀프 프로비저닝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번 행사에서 유충근 한국HPE 상무는 "AI는 이미 티핑 포인트에 도달했으며, 도입 여부가 문제가 아닌, 언제 도입할 것인가, 그리고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가 관건"이라며, "이미 선제적으로 도입을 하고 있는 조직들이 여럿 있지만, 아직 AI 기술이 초기 단계라는 한계때문에 실제적인 성과는 미약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특히 "AI 도입에는 여러 해결 과제가 남아있으며, 복잡성과 책임, 확장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HPE는 인프라와 소프트웨어 스택까지 모두 지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로케이션의 데이터를 통합해 AI에 활용할 수 있는 각종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AI 환경에 대한 HPE의 지원 능력을 소개했다.
HPE는 책임있는 AI를 위한 5대 원칙을 세우고 프라이버시와 보안, 인간 중심, 다양성의 추구, 견고함, 책임감 등을 모든 AI에 개발에 적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영채 상무는 "현재 한국에서도 그린레이크 기반의 AI 도입에 대한 많은 수요가 있으며, 현재까지 약 1000억원대의 계약이 체결된 상태로, 연 70% 이상의 고속 성장중이기 때문에 향후 1조 원 대의 매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한국 시장의 가능성에 대해 설명했다.
관련기사
- 5448개 GPU 탑재한 21엑사플롭 성능 AI 슈퍼컴퓨터 나온다
- HPE, 연이은 행사 통해 슈퍼컴퓨팅·AI 전략 소개
- “기업들 혁신 기술 원하지만 리스크 우려로 투자 어려워”
- [Success Story] 컬리, 지능형 무선LAN 인프라로 첨단 물류 시스템 구현
- 'HPE 알레트라 스토리지'에 들어가는 'AMD 에픽 임베디드 프로세서'
- 'AI 클라우드'에서 개발하는 '대규모 언어모델(LLM)'
- HPE, ‘2023 HPE 데이터 서비스 이노베이션 데이’ 성료
- 에지에서 모든 클라우드까지 데이터 활용 높이는 'HPE 에즈메랄 소프트웨어'
- 파트너 지원도 이젠 서비스형으로 간다
- 턴키로 제공되는 생성AI 최적화 'HPE 슈퍼컴퓨팅' 솔루션
- 금융권 호재 ‘서비스형 데이터 분석’ 연평균 38% 급성장
- HPE, 엔비디아와 엔터프라이즈급 풀스택 생성AI 솔루션 제공
- HPE-고려대, 차세대 지능형 캠퍼스 ICT 인프라 구축 협력
- [Success Story] 대구은행, PaaS 시스템에 들어간 레드햇 오픈시프트
- HPE 스페이스본 컴퓨터-2, 업그레이드하고 ‘다시 국제우주정거장으로’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모니터링 시장 확대하는 풀스택 옵저버빌리티 '엑셈원'
- HPE, 2024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리더 선정
- HPE 아루바 네트워킹, 고성능 Wi-Fi 7 AP 출시
- 보안·성능·품질 높인 AI용 APM ‘뉴렐릭 AI 모니터링
- 메가존클라우드-HPE, 공공기관 SAP ERP 사업 확대 협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