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및 전자부품 유통 업체인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는 에스프레시프 시스템즈(Espressif Systems)의 ESP32-H2-MINI-1x 모듈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이 모듈은 블루투스 LE(Bluetooth Low Energy)와 IEEE 802.15.4를 모두 지원하는 강력한 콤보 모듈로, 매터(Matter) 호환성을 제공하는 데 최적화돼 있다. 매터는 IoT 애플리케이션 구현을 간소화할 뿐 아니라 스마트홈과 산업 자동화, 소비가전 기기, 스마트 농업 및 헬스케어 등 다양한 에코시스템에 손쉽게 통합할 수 있는 업계 표준 기반의 단일화된 IP 기반 연결 프로토콜이다.

마우저에서 구매할 수 있는 에스프레시프 시스템즈의 이 모듈은 최대 96MHz에서 동작하는 32비트 RISC-V 단일 코어 CPU인 ESP32-H2 시스템온칩(system-on-chip, SoC)과 전력 효율 극대화를 위해 주변장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저전력 스마트 코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다. ESP32-H2는 다중 프로토콜(I2C, I2S, SPI, UART, ADC, LED PWM, ETM, GDMA, PCNT, PARLIO, RMT, TWAI, MCPWM, USB 직렬/JTAG)과 온도 센서, 범용 타이머, 시스템 타이머 및 워치독(Watchdog) 타이머를 비롯, 최대 19개의 GPIO를 내장하고 있다.
ESP32-H2-MINI-1x 모듈은 ESP 와이파이 SoC와 결합해 스레드 최종 기기와 스레드 보더 라우터(border router) 및 매터 브리지를 구현할 수 있으며 ESP32-C3-MINI 및 ESP32-C6-MINI 모듈과 핀투핀(pin-to-pin) 호환이 가능하다. 또한 16KB 캐시를 지원하는 320KB의 SRAM과 128KB의 ROM, 4KB LP 메모리를 비롯해 통합 2MB 또는 4MB SiP 플래시 메모리를 갖추고 있다.
이 모듈은 에스프레시프 시스템즈의 ESP32-H2-DevKitM-1 개발 키트를 통해 지원된다. 마우저에서 구매할 수 있는 이 개발 키트는 ESP32-H2-MINI-1 모듈이 탑재된 엔트리 레벨 개발 보드로, I/O 신호가 보드 양측의 핀 헤더로 처리되기 때문에 인터페이스가 매우 편리하다. 개발자들은 점퍼 와이어(jumper wire)로 주변장치를 연결하거나 브레드보드(breadboard)에 에스프레시프의 ESP32-H2-DevKitM-1을 장착해 사용할 수 있다.
관련기사
- 차세대 전력 반도체 핵심 기술 국산화 성공
- AI 칩, 연평균 22% 성장해 2034년 3000억 달러 전망
- 올해 국가연구개발 예산, 3407억원 증액된 5조원 대
- 규제준수·사이버 위협 증가로 "공급망 보안" 탄탄한 성장세
- 2024년 비즈니스를 혁명할 에지 AI 5대 트렌드
- 정부가 5조 8577억원 투자하는 '연구개발사업'
- “AI 데이터 전주기 프로세스 마다 데이터 관리 효율 높여 글로벌 AI 데이터 플랫폼으로 우뚝 서겠다”
- [2024년 전망] AI 구축 기업의 46%, 공급 업체 변경 계획
- 과기정통부,'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기술' 적극 투자
- 생명 연구 가속하는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 시범 운영
- 우리나라를 지킬 ‘12대 국가전략기술’
- 안리쓰-KT, IEEE Wi-Fi 7 성능 테스트 검증
- IoT에 대한 전문가들의 통찰력 담은 전자책 발간
-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엔지니어링의 미래로 초대하는 ‘2024 엔지니어 위크’ 후원
- 마우저, ‘웨어러블 리소스 센터’ 사이트 오픈
- 주변에서 에너지 얻는 ‘엠비언트 IoT’
-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몰입형 기술 리소스 허브로 AR/VR 지원
- 마우저, 인텔의 새로운 독립 FPGA 기업인 알테라 제품 공급
- 마우저, 극한 환경 안전 지원 콘텐츠 허브 ‘리소스’ 업데이트
-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산업 자동화 개발키트 '아두이노 PLC' 스타터 공급
-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산업 애플리케이션 AMD/자일링스 크리아 K24 SOM 공급
- RISC-V, AI로 인해 시장 들썩
- 마우저, 자동화·IoT용 ‘마이크로칩 RNWF02’ 개발 키트 공급
- IoT 애플리케이션 통신 최적화하는 ‘스마트홈 컨트롤러’
- 2 테라비트 고성능·고용량 QLC 플래시 메모리 등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