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가 총 5조 8577억원을 투자하는 ‘2024년도 연구개발(R&D)사업 종합시행계획’을 확정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종합시행계획은 2024년의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사업의 전반적인 추진방향과 분야별 추진계획을 확정하기 위해 수립되었다. 과학기술 분야 연구개발 예산 4조 6909억원 및 정보통신·방송(ICT) 분야 연구개발 예산 1조 1668억원을 대상으로 한다.

올 해는 글로벌 블록화에 따른 기술패권 경쟁 심화, R&D 혁신에 대한 국가적 요구 등의 국내외적 상황 속에서 ‘선도형 R&D 혁신으로 글로벌 과학기술·ICT 강국 도약’을 목표로 총 5조 8577억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할 계획이다. 투자는 3대 분야 9대 중점으로 이뤄진다.
우선 연구자의 혁신·도전적인 R&D 체질 개선 분야에 투자한다. 다양한 분야의 우수한 연구를 연구자의 성장 단계별로 지원하며, 특히 젊고 유능한 연구자를 위한 신진연구자 대상 기초연구 투자를 강화한다. 국내 연구자가 글로벌 연기관과 함께 연구할 수 있도록 대규모 국제공동 연구·인력교류 사업을 본격 추진하며, 미래 사회를 대비한 체계적 인재 양성에도 주력한다.
또한 과학기술과 ICT 기반으로 경제 활력 제고 분야에도 투자한다. 첨단바이오, 주력기술(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양자기술 등 기술 경쟁력을 높이는 전략기술 확보 목적의 R&D 투자를 강화하며, 우주·원자력 등 거대과학 분야에서 민간의 기술혁신 촉진 등을 위한 R&D 투자도 확대한다.
디지털 핵심 원천기술 확보에도 집중 투자한다. 현 생성AI의 한계 극복과 산업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AI 기술과 차세대 AI반도체 기술, 6G 등 차세대통신 기술, 양자암호통신, 사이버보안 기술 등 ICT 분야 초격차 기술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를 강화한다. 또한 자율주행차의 단계별 테스트와 실증을 위한 기술개발 등 우리 일상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미래 디지털 혁신·유망기술 개발 투자도 강화한다.
혁신 연구성과를 지역과 딥테크 산업화로 확산하는 분야에도 투자한다. 첨단과학기술 분야 공공연구 성과가 창업투자, 기술이전 등 과학사업화를 통해 미래 신산업으로 연결되도록 선도적으로 투자한다. 이와 함께 우수한 ICT 연구성과가 기업의 기술혁신과 신제품․신서비스 창출로 이어지도록 하는 기술개발 지원도 지속 추진한다.
미래사회 대비 글로벌 우수인재 양성에도 투자를 강화한다. 국가 전략 기술 분야 인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12대 분야 석․박사급 인재를 양성하고, AI 분야 석·박사급 인재양성과 함께 디지털 신산업을 견인할 고급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한 학·석사 연계지원, 지역인재 양성 등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대내외적 연구개발을 혁신하는 제도개선 계획도 함께 발표하였다. 과학기술 분야는 평가 시 상피제의 원칙적 폐지, 도전성·혁신성 지표 비중의 대폭 확대, 평가 종합의견 원칙적 공개 등 평가의 전문성과 투명성을 강화하는 평가체계 개선방안을 수립하였다. 또한 일회적, 파편화된 사업의 구조개편, 과제 대형화 등 R&D 사업 구조개편 마련도 추진하며 ’25년 예산협의․편성 과정을 통해 구체화할 계획이다.
ICT 분야는 장기연구로 난제해결에 중점을 둔 전략적 기획, 데이터 기반의 기획지원 플랫폼 구축 등 적기·상시 기획 체계 수립, PM의 선정평가위원 대상 설명 의무화 등을 통한 평가 전문성 강화와 같은 R&D의 기획, 평가 역량을 중점 제고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과기정통부는 연구자들의 안정적 연구 수행을 위해 계속과제 추진 가이드라인과 글로벌 R&D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다. 계속과제 추진 가이드라인을 통해 연구자가 전년대비 예산 감액 등 변화에도 불구, 안정적이고 원활한 사업·과제 수행이 가능하도록 연구비 조정 절차, 협약 변경 절차 등을 안내할 예정이다.
또한, 올해 대폭 확대되는 글로벌 R&D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연구자 주도의 적합한 연구과제 지원 방향 등을 안내해 연구자들의 원활한 과제 수행에 도움을 줄 예정이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이번에 확정된 종합시행계획에 따라 신규 사업·과제별 추진일정을 1월 5일자로 공고하였으며, 1월 말부터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정부 연구개발사업 부처합동설명회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 과제 공모 시기, 절차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약진하는 이음5G,1년간 2배 확대
- 올해 기초연구 사업에 2조 1179억원 투자된다
- 구글-과기정통부, ‘구글 커리어 서티피케이트 디지털 스킬업 패스’ 무료 수강 장학금 지원
- 양자기술·양자산업 정보 총망라한 '양자정보기술 백서'
- 과기정통부, 올해 스마트빌리지 사업 예산 1039억원 확정
- 과기정통부,'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기술' 적극 투자
- 과기정통부, '초거대 AI 초일류 국가 도약' 2024년 핵심 국정과제 발표
- 생명 연구 가속하는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 시범 운영
- 우리나라를 지킬 ‘12대 국가전략기술’
- 국내 AI 신뢰성 단체표준 제정, "AI 윤리·신뢰성 확산과 산업 활성화 기대"
- 21세기 산업혁명 ‘생성AI’ 파죽지세 성장
- 인포뱅크, 국내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 지원 본격 추진
- 인텔-디지털브릿지, 기업용 생성AI 솔루션 기업 아티큘8 설립
- 엔비디아, 초고성능 생성AI 지원 신제품 발표
- 테스트웍스, 2024 이머징 AI+X 톱 100 기업으로 선정
- [CES 2024] 과기정통부, 디지털 청년 인재 포럼 개최
- 6G 공동 연구 위해 한국과 핀란드 협력
- [CES 2024] 하이센스, TV 및 자동차 디스플레이 신제품 공개
- 마우저 일렉트로닉스, 8000종 이상의 신제품 구비
- 마음AI, 미국 시장 진출 준비 ‘착착’
- HPSP-imec, 트랜지스터 성능 향상 R&D 강화 협력
- 대화형 음성 AI로 통화 프로세스 자동화하는 SW
- 과기정통부, '물리보안'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육성
- 과기정통부, 지방 디지털 혁신에 5770억원 투자
- 과기정통부, 초거대 AI기반 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
- 과기정통부, ICT 기술 초격차 확보에 1324억원 투자
- 자율주행 AI 학습에 배달로봇 촬영 영상정보 활용 허용
- 디지털 시대, 건강을 유지하는 화면 시간 관리법
- 중앙정부, “도전! K-스타트업 2024” 참가팀 모집
- 올해 국가연구개발 예산, 3407억원 증액된 5조원 대
- 1세대 상업용 양자 장치 출시
- IBM-한국퀀텀컴퓨팅, IBM 왓슨x 및 양자 컴퓨터 국내 도입 협력
- 과기정통부, 디지털 심화 쟁점 해결 본격 돌입
- 차세대 전력 반도체 핵심 기술 국산화 성공
- 마우저, 에스프레시프 시스템즈 ESP32-H2-MINI-1x 모듈 공급
- [MWC 2024] 안리쓰, 5G 및 6G 넘어선 미래 기술 선보인다
- 자율운항 선박 연구에 동역학 시뮬레이션 솔루션 ‘아담스’ 지원
- 복잡한 자동차 사이버 보안, ISO/SAE 표준으로 간단하게
- 서울테크노파크-KATRI, 기업 성장 가속화 맞손
- 산업부, 차세대 첨단로봇 기술에 523억 원 투자, 작년 대비 4배 증액
- 과기정통부, 디지털 창업 지원 ‘2024 K-글로벌 프로젝트’ 시행
- 글로벌 반도체 경쟁, 어떻게 대응할까?
- [MWC 2024] ‘AI-RAN 얼라이언스’ 참여한 삼성전자, AI 기반 6G 기술 주도 나서
- 과기정통부, 全 산업 디지털 서비스화 ‘XaaS 선도 프로젝트’ 추진
- 서울테크노파크, 바이오·헬스 수요기술 조사 실시
- EV용 이차 전지, 제조 공정을 최적화하려면?
- AI 기술 격차 해소할 3단계 인력 개발 프로그램
- 헥사곤- 울산·경남지역혁신플랫폼, 디지털 혁신 인재 양성 협력
- 최고의 ICT 서비스 선정하는 ‘ICT 어워드 코리아 2024’
- 민·관 참여 바이오·헬스 데이터플랫폼 협의체 출범
- KAIST-네이버-인텔, 새로운 AI 생태계 공동 구축
- 산업부, 신규 R&D 사업 및 초격차 로드맵 발표
- 다보링크-우리넷, 유무선 네트워크 융합 서비스 개발 협력
- 나인테크, ‘폐배터리 무방전 파쇄 장비·전극 분리 장비' 신기술 선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