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지난 12월 20일 국회가 의결한 2024년도 예산안에서 국가전략기술 예산이 2023년도 4.7조 대비 0.3조가 증액된 총 5조원 규모로 확정되었다고 밝혔다.
2024년도 국가 주요 연구개발사업(이하 ‘주요R&D’) 예산은 세계최고 수준의 혁신적 연구개발 집중투자, 대한민국을 이끌 미래세대 육성 강화 방향으로 편성되었다. 주요 R&D 예산은 기술독립과 주권 확립을 목적으로 차세대 성장동력과 주력산업 분야의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해 국가전략기술에 중점 투자한다.

단, 전략기술에 해당하더라도 최근 소재‧부품‧장비, 감염병 등 단기적 이슈에 따라 대규모로 예산이 증가하였거나, 집행이 부진한 경우 관행적으로 예산을 편성하는 대신 예산 소요를 검토하여 효율화를 추진하였다.
국가전략기술 중 7대 핵심분야의 중점 투자 방향과 특징적인 사업은 다음과 같다.
① 반도체 분야는 23년 5635억원에서 6362억원으로 증액됐다. 주요국과의 반도체 글로벌 거점 마련 및 인력교류 등 국제협력 확대 및 반도체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지원을 확대한다. 반도체 경쟁력 유지위한 첨단패키징, 인공지능 반도체 개발 등 초격차 반도체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② 인공지능 분야는 23년 7051억원에서 24년7772억원으로 증액됐다. 차세대 핵심기술 투자 확대와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난제해결 및 융합·원천기술 확보를 지원한다.
③ 첨단바이오 분야는 23년 8288억원에서 24년 9772억원으로 증액됐다. 합성생물학, 유전자·세포치료 등 유망기술 확보에 투자를 강화하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 삶과 밀접한 필수의료·신약·재생의료 등 혁신적‧임무중심형 R&D를 지원한다.
④ 사이버보안 분야는 23년 1653억원에서 24년 1904억원으로 증액됐다. 지능화·글로벌화 되어가는 사이버 침해에 대응하기 위한 인력양성 및 원천기술개발 등 국내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 및 국내외 협력기반 마련을 강화한다.
⑤ 양자 분야는 23년 1080억원에서 24년 1252억원으로 증액됐다. 미래 산업‧안보 게임체인저인 양자기술 확보를 위해 도전적 원천연구에 과감히 투자하고, 인력양성 및 국내외 협력 기반구축에 집중 투자한다.
⑥ 이차전지 분야는 23년 1114억원 에서 24년 1364억원으로 증액됐다. 폐배터리 재활용부터 배터리 제조‧재사용까지 이차전지 순환경제 확립 관련 기술을 조기확보해 자체 공급망 안정화, 광물 무기화에 대비하고, 가격경쟁력 중심 다변화되고 있는 이차전지 핵심소재에 대응투자를 강화한다.
⑦ 우주 분야는 23년 7508억원에서 24년 8362억원으로 증액됐다. 다양한 우주수송체계, 첨단 항법‧관측‧통신 위성 등 우주 전략기술 고도화·자립화를 통한 우주안보 강화와 자생적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을 지원한다.
주영창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투자는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를 통해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대내외적인 불확실성으로 인해 재정여건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세계적인 기술패권 경쟁 및 과학기술 정책의 안보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투자 확대 노력을 지속할 것” 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중앙정부, “도전! K-스타트업 2024” 참가팀 모집
- 자율주행 AI 학습에 배달로봇 촬영 영상정보 활용 허용
- 공공기관 데이터 통합한 ‘디지털집현전’
- 과기정통부, AI 융합혁신 및 대중화 적극 추진
- 과기정통부, ICT 기술 초격차 확보에 1324억원 투자
- 과기정통부, 초거대 AI기반 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
- 과기정통부, 지방 디지털 혁신에 5770억원 투자
- 과기정통부, '물리보안'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육성
- 정부가 5조 8577억원 투자하는 '연구개발사업'
- 올해 기초연구 사업에 2조 1179억원 투자된다
- 과기정통부, 올해 스마트빌리지 사업 예산 1039억원 확정
- AI 시대, 정부가 '디지털 권리장전'에 주목하는 이유
- 과기정통부,'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기술' 적극 투자
- 1세대 상업용 양자 장치 출시
- IBM-한국퀀텀컴퓨팅, IBM 왓슨x 및 양자 컴퓨터 국내 도입 협력
- [Success Story] 체크포인트,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대회 사이버 보안 시스템 구축
- 차세대 전력 반도체 핵심 기술 국산화 성공
- 마우저, 에스프레시프 시스템즈 ESP32-H2-MINI-1x 모듈 공급
- 다올TS, AI·클라우드 신년 로드쇼 진행
- 엔씨소프트, 2023년 매출 1조 7798억 원 ‘전년 대비 31% 감소’
- 강력한 인간을 향한 ‘인간강화기술’, 관심만큼 큰 폭 성장
- 마이크로칩, 최대 25Gbps의 고속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그랜드마스터 제품 출시
- 서울테크노파크-KATRI, 기업 성장 가속화 맞손
- 그리너지, 미국∙영국에 배터리 공급 호조
- 힐셔, 미니 PCle 하프사이즈 형식의 신규 cifX PC 카드 출시
- 메이사, 기재부 현장 방문 기업으로 선정
- ADI-TSMC, 웨이퍼 공급 협력 강화
- 글로벌 반도체 경쟁, 어떻게 대응할까?
- 온세미, 7세대 IGBT 기반 지능형 모듈 ‘에너지 소비 절감’
- 서울테크노파크, 바이오·헬스 수요기술 조사 실시
- 배터리 재료 50% 공급 목표 삼은 배터리 재활용 공장
- 아이스아이, 25cm 영상 촬영 가능한 레이다 위성 발사 ‘성공’
- EV용 이차 전지, 제조 공정을 최적화하려면?
- KISA, 정보보호 공시 사전점검 자율협의체 출범
- 서플러스글로벌, ‘레거시 반도체 장비로 세상을 구한다’
- [한선화의 소소(昭疏)한 과학] 수많은 과학자들의 땀으로 빛나는 별 ‘인공위성’
- 도심 환경에서 위치 정확도 향상시키는 ‘GNSS 플랫폼’
- 2023년 국내 가전 시장, 2022년 대비 ‘12% 하락’
- 과기정통부, 정보보호 R&D 전년대비 22% 확대
- 과기정통부, 데이터 가치평가·품질인증 ‘최대 1500만 원 지원’
- 민·관 참여 바이오·헬스 데이터플랫폼 협의체 출범
- 산업부, 신규 R&D 사업 및 초격차 로드맵 발표
- 나인테크, ‘폐배터리 무방전 파쇄 장비·전극 분리 장비' 신기술 선봬
- 악셀스페이스, 인공위성 내 제품 테스트 서비스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