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 방지 전문가들의 83%가 향후 2년 이내에 사기 방지 장비에 생성AI 기술을 추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생성AI는 사회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사기 방지 이니셔티브에 생성AI를 사용하면 리소스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더 많은 양의 데이터에서 이상 징후, 추세 및 징후를 식별하는 데 상당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기 방지 이니셔티브에 생성AI를 사용하면 리소스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더 많은 양의 데이터에서 이상 징후, 추세 및 징후를 식별하는 데 상당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FE(Association of Certified Fraud Examiners)와 SAS는 최근 발표한 ‘2024년 사기 방지 기술 벤치마킹 보고서(2024 Anti-Fraud Technology Benchmarking Report)’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는 2023년 후반에 1200여 명의 ACFE 회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 기술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 사기 방지 전문가 중 18%가 현재 사기 방지 도구 중 하나로 AI/ML을 꼽았다. 또 다른 32%는 연구 시작 이후 최고치인 향후 2년 내에 이러한 기술을 구현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속도라면, 사기 방지 프로그램에서 AI/ML의 사용은 2025년 말까지 거의 3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AI와 ML 도입은 아직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뜨거운 관심에도 불구하고 사기 탐지와 예방을 위한 AI/ML 채택은 2019년 이후 5% 증가에 그치고 있다. 이는 2019년과 2022년 연구에서 밝혀진 예상 채택률(각각 25%와 26%)에 크게 못 미치는 수치다.

많은 데이터 분석 기술의 사용은 정체된 반면, 사기 방지 프로그램에 생체인식과 로봇공학의 적용은 꾸준히 증가했다. 실제 생체인식 사용은 2019년 이후 14% 증가했으며 현재 응답자의 40%가 이를 인용했다. 설문조사 응답자의 20%는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를 포함한 로봇공학을 사용한다고 답했으며 이는 2019년 9%에서 증가한 수치다. 이러한 기술의 사용은 은행 및 금융 서비스에서 특히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51%는 물리적 생체 인식을 사용하고 33%는 로봇공학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