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및 AI 기술의 발전은 디지털 전환과 산업 혁신의 핵심 요인으로, 기업과 기관의 효율성과 경쟁력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다. 특히 금융, 제조, 공공 분야에서는 데이터 분석과 AI를 활용한 리스크 관리, 사기 탐지, 내부 통제 강화가 필수적이며, 생성AI와 대규모언어모델(LLM)은 산업별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해 생산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다. 

데이터 및 AI 기업 SAS코리아(대표이사 이중혁)가 창립 35주년을 맞아 21일 기자 간담회를 열고 국내 시장 확대와 비즈니스 성장을 위한 2025년 비즈니스 전략 및 계획을 발표했다.

ㄹ
SAS코리아 이중혁 대표이사

SAS코리아 이중혁 대표이사는 “SAS 바이야의 분석 능력과 LLM 기술을 접목해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산업별 사례를 공급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며 “고객의 니즈와 규제 요건에 맞춰 금융·공공 등 산업별 특화된 AI 솔루션을 적극 영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금융·제조·공공 중심 성과

지난해 SAS코리아는 KB국민은행에 자산 및 부채 관리 고도화 솔루션을, 우리은행에 해외망 자금세탁방지(AML) 솔루션을 구축했다. 또한, 한국신용정보원 분석 모델 고도화 프로젝트를 포함해 제조, 교육 기관 등에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또한 국내 대규모언어모델(LLM) 기업들과 협력해 생성AI(Generative AI)의 실제 업무 적용 사례를 개발했다. SAS코리아 CA 본부 김근태 상무는 “SAS 코리아의 생성AI 전략은 ‘SAS 바이야(SAS Viya)’를 활용한 생성AI 가치 향상”이라며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 SAS 바이야 플랫폼 기반으로 생성AI와 LLM 모델을 결합한 ‘AI 에이전트’ 사례도 공개했다.

SAS코리아 CA 본부 김근태 상무
SAS코리아 CA 본부 김근태 상무

SAS 바이야 경량형 분석 플랫폼 ‘SAS 바이야 워크벤치(SAS Viya Workbench)’도 출시했다. 김상무는 “워크벤치는 SAS 언어와 파이썬을 모두 지원해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모델을 구축 및 협업할 수 있다.”라며 “검증된 알고리듬으로 신뢰성과 안정성, 빠른 성능을 제공해 신속한 모델 개발과 용이한 수명주기 관리가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산업별 특화 솔루션으로 생산성 향상 

SAS코리아는 올해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산업별 특화 솔루션 공급 ▲신뢰할 수 있는 생성AI 솔루션 ▲국내 파트너들과 협력 강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① 산업별 솔루션 공급 

SAS 바이야 워크벤치와 도입 즉시 AI 모델 사용이 가능한 ‘SAS 산업특화형 AI 모델’로 업무 처리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SAS 산업특화형 AI 모델은 바이아 플랫폼 기반으로 산업별 솔루션을 신속히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증가하는 금융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소비자 보호 및 내부 통제 디지털화가 필요한 금융 및 공공기관 대상으로 내외부 사기 탐지, 유동성 및 부채 관리, 리스크 관리 솔루션 공급에 집중할 계획이다.  

② 신뢰성 있는 생성AI

지난해 합성 데이터 플랫폼 기업 헤이지(Hazy)의 주요 소프트웨어 자산을 인수해, 더 정교한 합성 데이터의 생성 ‘SAS 데이터 메이커(SAS Data Maker)’를 올 상반기 출시 예정이다. 또한, 편향성을 줄이고 설명성을 제공하는 ‘SAS 바이야’ 플랫폼을 기반으로 환각을 줄이고 신뢰성을 높일 계획이다. 

③ 파트너 협력 강화 

지난해 6월 IT 서비스 전문기업 코오롱베니트를 국내 총판사로 선정하며 총판 체제를 구축했다.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파트너사와 의료, 임상, 유통 분야에서 공동 마케팅 및 영업을 강화할 예정이다. 산업 특화 솔루션 공급을 위해 기업과 기술 협력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중혁 SAS코리아 대표이사는 “많은 기업의 기존 AI/ML 투자에서 투자 수익(ROI)이 창출을 지원하고,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