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는 25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아태지역 공공 의료 부문 클라우드 도입 장애 요인 극복’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자리에는 시민 미르자(Simeen Mirza) 액세스 헬스 인터내셔널 전략 컨설턴트와 이수정 AWS 교육 및 헬스케어 부문 사업 총괄이 참석했다.
이번 연구는 AWS 인스티튜트와 협력해 액세스 헬스 인터내셔널(ACCESS Health International)에서 수행한 것으로 39명의 정책 입안자, 보건의료분야 최고정보책임자(ICO), 디지털 헬스 분야 전문가 인터뷰를 대상으로 했다.
호주,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일본,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필리핀, 싱가폴, 대한민국, 태국, 베트남의 아태 지역 12개국에서 조사된 내용을 바탕으로 시민 미르자 전략 컨설턴트는 세 가지 제언을 했다.
첫째 클라우드 우선 정책 수립, 둘째 명확하고 책임 소재가 확실한 데이터 거버넌스 정책 제시, 마지막으로 공공 의료 부문의 디지털 역량 및 지식 격차 축소다.
우선 시민 미르자 컨설턴트는 “디지털 헬스 없이는 평등 의료 불가능하다”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디지털 헬스 관련 교육을 우선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실행하지 않는 국가가 지난 2년간 의료 분야의 기술과 발전 영역에서 격차가 벌어지는 것을 경험했다”고 털어놓았다.
우리나라 의료 보험 제도는 1963년을 기점으로, 2000년 7월 국민건강보험 시대를 열며 꾸준히 발전해 왔다. 이미 헬스 케어, 디지털 헬스 케어 분야 모두에서 선도적인 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시민 미르자 컨설턴트는 “한국은 고령화 사회가 가속되면서 의료 자원과 인력 부족으로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또 민간 의료 시설 92%가 도심에 집중돼 있어 이외 지역에 살고 있는 인구 20%에 대한 의료 혜택 공백과 접근성이 부족하다”고 먼저 사회적 배경을 설명했다.
한국은 오랜 동안 보편적 의료 체계를 갖고 있어 방대한 의료 데이터가 축적돼 있다. 정부 또한 2016년부터 클라우드 컴퓨팅을 공공 의료 분야에 도입하는 등 직간접으로 디지털 헬스 케어를 지원하고 있다. 환자 대기 시간의 70%를 줄이고, 정밀 의약품의 전달을 간소화 등 클라우드 도입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그녀는 “한국은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준비가 돼 있지만, 이에 대한 인식과 정책은 부족하다”며 지적했다.
조사에 따르면, 클라우드 도입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정부로부터 더 많은 인센티브 정책과 지원이 필요하고 보안에 대한 우려도 불식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형 의료 기관만이 아니라 중소형 의료 기관 등도 참여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이전 비용 보상 시스템과 강력한 정책이 필요하지만, 동시에 엄격한 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목소리다. 즉, 규제는 풀면서 혁신은 강화하는 중간 지대가 필요하다고 봤다.

한편, AWS는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보건국, 싱가포르 헬스 케어 기업 IHiS, 한국 서울대학교 병원 의료 센터, 인도의 프로젝트 스텝 원과 같은 비영리 단체,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업체 등과 협력해 왔다.
팬데믹과 노령화 사회로 개인의 환자 기록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팬데믹 기간 동안 전염 관리는 일반 전염 관리는 물론이고 중증·경증 환자 지원 및 짧은 시간 내 백신과 치료제를 지원하는 연구 영역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수정 AWS 코리아 사업 총괄은 “클라우드는 환자 중심의 개인화된 의료 체제를 구축하는 기반”이라며 최근 2년간의 팬데믹 기간 동안 삼성서울병원, 카톨릭대학교 중앙의료원, GE헬스케어, 서울대학교 헬스케어 스타트업 메디컬IP 등에 시스템을 구축한 사례를 소개했다.
향후 헬스 케어 사업 방향과 관련해서는 “병원의 규모나 해외 진출을 원하는 헬스 케어 스타트업인 헬스텍들의 규모를 따지지 않고 지원하고 협력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디지털 전환이 차별 없이 평등하게 이뤄지도록 클라우드 기술 교육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