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기업인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코리아(이하 MSTR, 지사장 양천금)가 통합 AI/BI 플랫폼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원(MicroStrategy ONE)’ 최신 업데이트 버전을 출시했다.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원은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에 인공지능(AI) 기술인 ‘마이크로스트레티지 AI(MicroStrategy AI)’를 통합해 각 분야의 기업들에 맞춤화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이번 업데이트에는 ▲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오토 봇(MicroStrategy Auto Bot)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oogle Cloud Platform) 지원 ▲마이크로소프트 팀즈(Microsoft Teams) 통합 ▲오토 앤서(Auto Answers)/오토 대시보드(Auto Dashboard) 향상 ▲가상(What-If) 분석 등이 포함됐다.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오토 봇은 쉽고 빠른 사용자 정의 봇 생성과 질의 응답을 지원한다. 특히,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웹에서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타사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융 데이터 세트를 사용해 금융 봇을 만드는 경우, 이 금융 봇에 사용할 데이터 세트, 사용자가 질문할 수 있는 질문의 종류, 봇의 포맷과 질문 가이드 등을 설정할 수 있다.
고객이 최적의 클라우드 환경을 선택할 수 있도록 AWS, 애저(Azure) 뿐만 아니라,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비즈니스 사용자들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팀즈에서도 마이크로스트레티지 라이브러리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팀즈에서 분석 대시보드를 지원하며, 특히 협업 시에 진행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바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보다 응답속도를 높였다. 챗봇을 이용해 시각화 대시보드에 대화를 추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언어 기본 설정에 따라 AI에 대한 추천 질문이 자동 번역되어 제공된다.
한편, 가상 분석을 통해 원본 데이터 변경 없이 사용자가 다양하게 값과 조건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여러 시나리오를 비교할 수 있다.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코리아 지사장은 “생성AI를 통해 대화하는 듯 쉽게 분석 기능을 활용하면서, 마이크로스트레티지의 강점인 엔터프라이즈 시맨틱 레이어가 관리하는 데이터로 빠르고 정확한 인사이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며 “이번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원 업데이트 버전을 통해 AI 분석을 원하는 국내 기업들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투자분석·채용·면접 부담 줄이는 GPT
- [기고] 기술이 주도하는 비즈니스 전략을 구축하라
- AI 업무에 워크스테이션 도입 비율 50%로 급성장
- 나날이 발전하는 챗봇 수요, 2032년 ‘346억 달러’ 전망
- 2024년의 AI 우선 고객 서비스 3대 동향
- 구글 클라우드-허깅페이스, 생성AI 및 ML 개발 가속화 지원 협력
- MS 팀즈 기반 업무 통합 플랫폼 '엠클라우드브리지 Ai 365'
- 기술에서 솔루션과 비즈니스로 거듭나는 AI 핵심 솔루션 AtoZ ①
- 정확한 BI와 똑똑한 AI의 결합이 시장 판도 바꿀 것
-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애저 마켓플레이스에서 'MicroStrategy ONE' 제공
- 주목받는 '비즈니스 인텔리전스·분석' 솔루션 8대 기업
- 뉴질랜드 오클랜드대학교, 클라우드 분석 환경 구현
-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코리아, 정경후 신임 지사장 선임
- [Success Story] KB증권 ‘마이크로스트레티지 BI 플랫폼’ 기반 데이터포털 구축
- AI로 데이터 분석 진일보한 마이크로스트레티지 ‘BI 플랫폼’
- [Success Story] 하나생명보험, BI 솔루션·데이터 허브로 고객 서비스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