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시뮬레이션 전문기업인 모라이(대표 정지원, 홍준)는 RIS 대구경북지역혁신플랫폼 미래차전환부품사업단과 대구경북지역 미래차융합전공 인재 양성을 위해 영남대학교 캠퍼스를 디지털 트윈으로 가상화하고 자율주행차량의 시험과 검증을 위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모라이는 영남대 캠퍼스 전체(약 82만 평)를 디지털 트윈 맵으로 구축하고 캠퍼스 환경을 정밀하게 모사해 실제 도로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마련했다. 이로써 영남대학교의 자율주행 연구원 및 학생들은 가상의 영남대학교 캠퍼스 맵에서 자율주행차량의 주행 알고리듬이나 시스템 안전성 검증 등 다양한 자율주행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미래차전환부품사업단은 대구경북지역의 미래차전환 부품산업을 혁신하기 위해 영남대학교를 중심으로 미래차 전환 맞춤형 인재양성 및 지역정착 지원, 미래차 전환 혁신 기술 개발, 미래차 생태계 구축 및 기업 지원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모라이는 대구경북지역혁신풀랫폼에 소속된 미래차전환부품사업단과 영남대학교 (B-1) 전기차융합부품트랙의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을 지원하고 있다. RIS 사업은 지자체와 대학 및 지역혁신기관이 지역 혁신 플랫폼을 구축해 산업 수요 맞춤형 중장기 발전 계획을 수립하고, 발전 목표에 따른 핵심 분야를 선정, 이와 연계한 대학교육과 지역산업 혁신을 추진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영남대학교 미래자동차공학과 권성진 교수(미래차전환부품사업단 부단장)는 “현재 영남대학교는 모라이의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자율주행자동차, 자율주행 인공지능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디지털 트윈 구축을 통해 학생들은 실제와 유사한 조건에서 다양한 검증이 가능해 자율주행 기술의 이해와 응용 능력을 향상은 물론, 미래 자동차 산업을 이끌어나갈 전문가로 성장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모라이의 정지원 대표는 “영남대학교 학생들과 연구원들은 모라이의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율주행차의 성능 및 안전성 검증 연구를 가상의 환경에서 효율적이고 비용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자율주행 기술 연구의 질적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모라이는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산업의 발전과 모빌리티 산업 성장을 위해 계속해서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쓰임새 많은 5G mmWave 사설 네트워크, 기업 맞춤형으로 구현
- 첨단기술과 결합한 ‘디지털 트윈’ 시장 ‘멈추지 않는 고성장세’
- 5G IoT 시장, 기하급수적 성장 ‘2028년 954억 달러’ 전망
- 자동차 IoT, 급격한 변화 속 빠른 성장
- 자율운항 선박 연구에 동역학 시뮬레이션 솔루션 ‘아담스’ 지원
- LTTS, 마렐리에 디지털 트윈 SDV 솔루션 개발 지원
- 생성AI 도구가 공급망 운영 비용 절감
- “제조산업의 생성AI, 효과 높지만 해결 과제도 많아”
- 디지털트윈·AI 기반 수질관리 시스템 "공공하수처리 효율 높여"
- 기업 자산 관리 효율성 높이는 유틸리티 자산 관리 최적화 10대 전략
- 운전면허 시험에 응시한 자율주행 차량
- 제조 산업을 혁신하는 디지털 트윈
- 차세대 네트워크 견인차, "AI·클라우드·XR·디지털 트윈"
- 모라이, 항공∙국방 글로벌 무인 시스템 시장 공략 강화
- 모라이-충북대학교, 미래자동차 인재양성 및 미래차 신기술 분야 협력
- 아이지, 반도체 인력 양성 위한 8대 공정 테스트베드 출시
- 모라이-성남산업진흥원, 디지털 트윈 환경 자율주행 대회 개최
- 모라이, 독일 법인장에 토마스 군취니크 임명
- 모라이-육군사관학교, 국방 디지털 인재양성 협력
- 모라이, 다자간 자율주행 연구 프로그램 '호라이즌 유럽' 참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