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어 처리(NLP) 기술은 금융 부문의 정부 기관과 상업 기업 모두에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정부 기관은 NLP를 활용함으로써 방대한 양의 금융 텍스트를 분석해 포괄적인 분석과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금융 기업은 NLP의 역량을 활용해 금융 데이터의 복잡성에 특별히 맞춘 맞춤형 텍스트 분석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강화하고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딥 러닝 기반 솔루션과 고정밀 생체 인식 기술 제공 업체인 뉴로테크놀로지(Neurotechnology)는 LLM(Large Language Models) 독점 연구를 통해 금융 기사와 소셜 미디어 메시지에 대해 훈련된 맞춤형 ‘스톡가이스트 파이낸셜 챗봇(StockGeist Financial Chatbot)’을 출시했다. 이 챗봇은 NLP 기술을 기반으로 대량의 텍스트 데이터를 처리∙분석∙관리할 수 있으며, 수동으로 수행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했던 다양한 텍스트의 처리와 생성 작업을 자동화한다.

스톡가이스트 파이낸셜 챗봇은 주식이나 암호화폐에 관한 뉴스에 대한 간단한 설명, 최근 사건 요약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금융 용어에 대한 설명도 제공한다. 또한 시장 감정 모니터링 플랫폼 스톡가이스트.ai(StockGeist.ai)에서 API를 통해 스트리밍된 데이터를 사용해 파이낸셜 챗봇이 최신 상태를 유지하고 주제에 대한 답변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뉴로테크놀로지는 가격과 같은 표 형식의 데이터를 읽고, 실시간 주식 데이터를 분석하고, 기사를 읽고, 몇 초 안에 피드백을 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독점 LLM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또한 NLP 솔루션의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여론 이해, 정치적 평가, 스포츠 감성 분석이나 브랜드 인지도 인식 등으로 더욱 확장할 예정이다. NLP 기술은 또한 독점 음성 인식 알고리듬과 결합돼 여러 텍스트 음성 변환, 음성 텍스트 변환 솔루션과도 결합될 수 있다.
관련기사
- 나날이 발전하는 챗봇 수요, 2032년 ‘346억 달러’ 전망
- [기고] 생성AI 앱 수준을 높이는 자율 에이전트 구축법
- 오픈 소스 LLM 기반 생성AI 클라우드 “배포와 운영 간편”
- 2024년을 노리는 5대 사이버 공격
- AI 시대 기업에 필요한 LLM 선택법
- [기고] 대형 언어 모델의 역사
- [기고] 2024년 더 스마트해지는 시맨틱 기술
- AI 텍스트 생성기 시장, 2032년까지 22억 달러 규모로 성장
- AI 활용 확대로 광폭 성장하는 '대규모 언어 모델 LLM'
- 전자상거래 매출과 이익을 극대화하는 AI 활용법
- 신용카드 가맹점에서 ‘암호화폐로 결제’
- 고객 참여와 ROI 높이는 양방향 대화 솔루션
- 신원 사기 공격의 목표 1순위는 ‘암호화폐’
- 사람처럼 전자책 읽어주는 고품질 음성 합성
- 미성년 자녀 계좌 만드는 ‘대법원 증명서 열람’ API
- 리플, 미 달러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
- EU NIS 2 사이버 보안 지침 발효, 기업들 보안 ‘비상’
- 정보 제공∙태스크 연동∙리포트 생성해주는 ‘구독형 AI 챗봇’
- 암호화폐 디지털 지갑의 부상
- [SPOTLIGHT] 사이버 디지털 위협 해결사, 사이퍼넷 쉴드
- 엘솔루, 토스씨엑스에 E2E 음성 인식 솔루션 공급
- 부동산 신탁 투자, ‘AI’로 수익보자
- 암호화폐 침체기에 주목받는 채굴전략
- 은행의 신성장 동력 ‘제3자 데이터 활용’
- 재교육 없이 전문 용어 즉시 이해하는 AI 음성 인식 시스템
- 자동 음성인식 시스템 ‘위스퍼’보다 50% 빠른 ‘위스퍼-메두사’
